2019.01.10by 이수민 기자
자율주행 생태계는 자율주행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기술적 난제와 소비자 우려를 마주하고 있다. 이에 NXP 반도체는 칼레이와의 전략적 제휴를 발표했다. 양사는 NXP가 보유한 확장 가능한 ADAS 및 중앙 컴퓨팅용 기능 안전 제품 포트폴리오와 칼레이의 고성능 지능형 MPPA 프로세서를 통합한 안전한 자율주행용 플랫폼을 출시한다.
2019.01.07by 이수민 기자
가트너가 2018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에 대한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2017년 대비 13.4% 성장한 4,767억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메모리가 전체 반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17년 31%에서 2018년 34.8%로 증가하면서 최대 반도체 부문으로서의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2018년 하반기에부터 시작된 메모리 시장의 침체와 미중 무역갈등으로 반도체 시장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
2018.10.20by 이수민 기자
NXP 반도체는 에지 노드 개발자들이 머신 러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eIQ 에지 인텔리전스 소프트웨어 환경과 전문 애플리케이션용 맞춤형 솔루션을 선보였다. eIQ 소프트웨어 환경은 광범위한 산업용, 사물인터넷,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또한 리소스가 제한된 에지 디바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클라우드 용으로 교육된 ML 모델을 구성하고 최적화하는데 필요한 도구가 포함되어 있다.
2018.06.27by 명세환 기자
NXP 반도체는 RF 에너지용 시스템 솔루션 시리즈를 새롭게 발표했다. 출시된 2.45GHz, 250 W 플랫폼 솔루션은 엔지니들이 혁신적인 고성능 시스템을 쉽게 프로토타이핑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2018.06.15by 명세환 기자
NXP 반도체는 5G 네트워크를 위한 질화갈륨(GaN) 및 Si-LDMOS 기술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이 제품들은 소형 풋프린트에서 업계 최고 성능을 제공해 차세대 5G 셀룰러 네트워크 구현
2018.06.14by 명세환 기자
전력 증폭기 통합, 보드 공간 축소, 변압기 간 트루 풋프린트(true footprint) 및 핀 호환성 등의 문제 해결위한 다중 출력 솔루션
2018.04.23by 김지혜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NXP 반도체의 S32R274 레이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공급한다. S32R274는 빔 포밍 및 빠른 처프 변조 기능을 갖춘 레이더 시스템이 요구하는 고성능 연산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된 소자이다. 신호 처리 가속과 멀티코어 아키텍처가 결합되어 이전 세대 제품들과 비교해서 산업 및 자동차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전력 성능이 최대 4배 향상되었다.
2018.02.02by 김학준 기자
NXP는 CAN 통신을 위한 새로운 보안 트랜시버 제품군을 발표했다. 새로운 트랜시버는 솔루션을 제공하며, 별도 소프트웨어나 암호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자제어장치(ECU) 연결에 사용되는 CAN 네트워크는 모든 차량에 탑재되고 있으며, 향후 10년에도 주요 네트워크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 된다. 또한 자동차 전자 콘텐츠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CAN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되는 실시간 데이터양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2018.02.01by 김지혜 기자
NXP 반도체는 TJA1102 PHY트랜시버와 SJA1105x이더넷 스위치를 선보이며, 이더넷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이들 제품들은 소형 전자 풋프린트로, 자동차 제조사들이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에 필요한 고속 이더넷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NXP는 차량용 이더넷 표준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차세대 표준을 시장에 제시하고 있다. 세계 유수 자동차 제조사들은 이러한 NXP의 새로운 이더넷 솔루션을 자사의 차세대 차량 모델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NXP는 고유의 기술과 경험을 기반으로, 이들 자동차 제조사에게 최대 100Mbps에 달하는 이더넷 속도를 제공하고 있다.
2018.01.25by 김지혜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NXP 반도체의 S32V234 비전 및 센서 융합 프로세서를 공급한다. S32V234는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전면 카메라 시스템, 보행자 및 사물 인지, 서라운드 뷰, 기계 학습 등 비전 및 센서 융합 애플리케이션에서 안전한 연산 집중형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