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1by 강정규 기자
ABB는 수십억 달러 규모로 알려진 잔스아이오(J-IC) 프로젝트에 총괄 전력 시스템(EPS)을 공급하는 약 1억2,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수주했다. 셰브론 호주 및 아커 솔루션 계약으로 구성됐으며, 2021년 3분기 수주다. 공사는 즉시 개시되며 해저 압축 시스템은 2025년 가동될 예정이다.
2021.09.01by 이수민 기자
SF6(육불화황) 가스는 그간 중·고전압 전류 절연 및 차단에 사용됐으나, 이산화탄소보다 23,500배 강력한 온실가스라는 점이 밝혀지며,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기업들은 기존 SF6 가스를 대체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31일, SF6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디지털 고압 스위치 기어, ‘SM AirSeT’를 출시했다.
2021.08.31by 이수민 기자
반도체 미세화의 한계가 명확해졌다. 반도체는 전자의 흐름을 통제하는 제품이다. 하지만 선로가 좁아지며 전자가 이를 벗어나 다른 곳에서 나타날 확률이 높아졌다. 양자역학에서 터널 효과라 부르는 문제다. 고전역학의 세계를 살아가는 인간이 알지 못한, 양자역학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맞닥뜨리게 된 것이다.
2021.08.30by 이수민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고효율 와이드밴드갭(WBG) 기술로 보다 간편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최대 45W 및 150W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지원하는 MasterGaN3 및 MasterGaN5 통합 전력 패키지를 출시했다. 두 디바이스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충전기, 어댑터, 고전압 PFC), DC/DC 컨버터 설계 시 최적의 GaN 디바이스와 드라이버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추가로 제공한다.
2021.08.30by 이춘영 외신
e4ds 뉴스 중화권 ICT 소식 정리 - 2021년 8월 30일 [차이나 브리핑] : ◇3nm 난관 부딪힌 TSMC, 내년에도 4nm 기술로 갈 듯 ◇英 파운드리 인수한 中 윙텍, 올 상반기 반도체 사업 수익성 역대 최대 달성 ◇臺 장악한 반도체 테스트 시장, 재료분석(MA) 분야 유망 ◇차량용 전력 반도체, 전기차 사업 주요 분야 됐다 등
한국전력이 켑코솔라에 자체 개발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기술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실적과 기상 관측 데이터를 딥러닝 기법으로 분석해 알고리즘을 도출하고, 기상예보 데이터가 입력되면 발전량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2021.08.26by 이수민 기자
코로나가 길어지며 공장 장비 제조사는 수익성 향상을 위해 제조 일정 단축 등 비용 저감방안 마련에 고려하고 있다. 이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26일, 합리적인 가격대를 갖춘 이지 시리즈 산업 자동화 제품군을 선보였다. 이지 시리즈엔 모션 컨트롤러, PLC, HMI, 산업용 인버터, 푸시 버튼, 경광등, 릴레이, 리밋 스위치에 이르는 산업 자동화 전반의 제품이 다양하게 포진했다. 혹독한 산업 환경에서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며, 설치가 쉽다.
PCB 배열구성은 전원공급장치 설계의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자기 간섭(EMI)과 열적 기능을 설정하기 때문이다.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배열구성은 설계 과정에서 꽤 늦은 시점까지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검증된 EMI 저감 조치를 사용하면 안정적인 전원공급장치를 보장할 수 있다.
2021.08.23by 이춘영 외신
e4ds 뉴스 중화권 ICT 소식 정리 - 2021년 8월 23일 [차이나 브리핑] : ◇비보, 자체 개발한 ISP 출시 전망 “칩 인력 모집 중” ◇화웨이, 블루투스 기반 사물 검색 관련 특허 취득 ◇중국동방항공, 6D 위성 고속 망 시범 서비스 성공 ◇中 올해 상반기 재생에너지 투자액 세계 1위, 美 3위 등
2021.08.19by 강정규 기자
초대형 데이터센터 설계자들은 급증하는 AI 애플리케이션과 딥러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피크 전력 및 발열 증가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심하고 있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고성능 고출력 AI 시스템 설계자가 전력 비용과 발열을 줄인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MAX16602 AI 코어 듀얼 출력 전압 레귤레이터와 MAX20790 스마트 파워 스테이지 IC를 출시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