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image

1,200㎞/h 하이퍼루프 통신 원천기술 개발

▲개발한 하이퍼루프 튜브내 통신환경 분석 기법 모델   UNIST·동국대, 하이퍼루프 튜브 내부 통신 채널 특성 규명 1,200㎞/h의 고속으로 달리는 하이퍼루프 내에서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향후 고속 교통수단에..

2022.05.18by 강정규 기자

image

화학폐기물로 만들 수 있는 약물 찾아주는 소프트웨어

▲바르토슈 쥐보프스키 교수   UNIST 그쥐보프스키 교수·폴란드 연구팀, 공동 개발 소프트웨어 설계 공정 ‘현장 생산용 제약 기계’ 실증 화학공정 폐기물들을 고부가가치 의약품이나 농약으로 합성..

2022.04.29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소리 듣는 인공피부 개발

▲연구팀이 제작한 센서     귀의 달팽이관 구조 모방 인공피부 센서 기반 아바타로봇·햅틱장갑 응용 등 VR·AR·IoT 기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인공피부로 로봇을 조종하는 인터페이스 기술..

2022.03.28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6G 소자 상용화 눈앞

▲E-band 메타표면 기반 OAM 통신 시스템 개념도     메타표면으로 E-band 대역 다중 OAM 모드 발생·검출 UNIST 연구팀이 자체 설계한 메타표면을 활용해 이러한 OAM 신호를 빠르게 판별할 수..

2022.03.22by 배종인 기자

image

과기부·4대 과기원, 반도체 인재양성 논의

반도체 연구개발·인재양성 지원 목표   과기부와 4대 과학기술원이 협의회를 구성하고, 과학기술원의 반도체 교육과정 설계 및 인재양성, 연구개발 방향 등을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제1회 ‘4대..

2022.03.07by 성유창 기자

image

‘설명가능 AI’로 꿈의 소재 만든다

  UNIST·경상대·KIMS, XAI 기술로 고강도 초경량 알루미늄 개발 인공지능(AI)이 특정 조합과 공정을 추천한 이유를 설명해주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기술로 개인용 비행체..

2022.02.21by 배종인 기자

image

발열 無 반도체 나온다

▲박경덕(좌측 끝) 교수 연구팀. 하단은 공동 제1저자인 이형우(좌측) 연구원과 구연정(우측) 연구원   UNIST, ‘엑시톤’ 고효율 제어 난제 해결 엑시톤 기반 반도체·광통신 소자 등 기대 엑시톤 ..

2022.02.07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연세의료원, 스마트 헬스케어 ‘맞손’

▲양 기관 관계자들이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의과학 기술·바이오메디컬 분야, 공동연구 UNIST(총장 이용훈)와 연세대학교 의료원(원장 윤동섭)이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 공동 연구 추진을 ..

2022.01.10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AI 세계무대 ‘정상’ 인정

▲(앞줄 왼쪽)윤태현 대학원생과 UNIST 인공지능대학원 학생들     뉴립스 경진대회 학생 1위·글로벌 2위 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윤태현 대학원생(지도교수 임성빈)이 세계적 인공지능 학회 경진대회에서 학생..

2021.12.06by 배종인 기자

image

CO2 개미산으로 바꾸는 촉매

▲(좌측부터)권영국 교수, 이호정 연구원(제1저자), 최한샘 연구원 등 연구진     UNIST·성대·DGIST, 초미세 균열 특수 기술 개미산 생성극대화·부산물 수소 획기적 감소 ..

2021.12.01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