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image

CO2로 항공유 만든다

  UNIST·LG화학, 탄소배출 80% 감축 항공유 생산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항공유(SAF) 생산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고부가가치 탄화수소..

2024.09.12by 배종인 기자

image

환경 살릴 신소재 지르코늄 기반 구조 26종 발굴

▲(아래 왼쪽부터 반시계방향으로)조혜진 연구원(1저자), 김지연 연구원(1저자), 최원영 교수, 김지한 교수, 남동식 연구원(1저자)   UNIST, 새로운 금속-유기 골격체 구조 개발 성공 신소재 설계 전략으로 26개 지르코늄 기반 금..

2024.09.10by 배종인 기자

image

빛 주파수 자유자재 조절해 양자광원·홀로그램 구현한다

▲전기적 조절이 가능한 제3 고조파 발생 비선형 광학 메타표면 개념도. 메타아톰 배열에 전압인가 방식에 따라 제3 고조파의 광세기 변조(좌), 회절특성 변조(가운데), 빔조향 특성 변조가 가능함.   UNIST, 빛 밝기·상태 제..

2024.08.26by 배종인 기자

image

버려지던 부생가스, 고부가 ‘알데하이드’ 탈바꿈

▲(위)LAO 생산 과정 중 부생가스 업그레이드용 하이드로포밀반응 모식도. (아래)하이드로포밀반응 전/후 부생가스 내 올레핀 성분 변화   UNIST 안광진 교수 공동연구팀, 로듐 촉매 개발 UNIST 연구팀이 부생가스를 활용해 고부가가..

2024.08.23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차 달리면서 충전한다

▲두 대의 로봇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실험   UNIST, 주행 중 끊김 無 무선 전력 공급 트랙 개발 운행 중인 차량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합하는 기술이 개발돼 향후 전기차가 달리면서 충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UN..

2024.08.19by 배종인 기자

image

초저전력 가스 센서 구현

▲(왼쪽부터)김재준 교수, 김용기 연구원, 김태중 연구원, 신흥주 교수 등 UNIST 연구진   UNIST, 나노공정·딥러닝 융합 가스 정밀 측정 나노기술과 인공지능(AI) 딥러닝을 융합해 정밀하면서도 초저전력으로 작동하는 ..

2024.08.13by 배종인 기자

image

웨어러블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 공급

▲(왼쪽부터)이용우 박사, 권지민 교수   UNIST, 폴리머 쇼트키 다이오드 안정성 확보 기술 개발 웨어러블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새로운 기술이 나왔다. 기기를 더 오래,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2024.08.08by 배종인 기자

image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안정성 값싼 주석염화물로 해결

▲(왼쪽부터 반시계방향으로)김동석 교수, 송지원 연구원, 신윤섭 박사 등 UNIST 연구진   UNIST, 주석 전구체 처리로 안정성 향상 저렴한 주석염화물을 사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전망이다. UNIST(..

2024.08.02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KISTI, 미래 슈퍼컴퓨팅 인재 양성

  ‘슈퍼컴퓨팅 청소년캠프’ 개최, 슈퍼컴퓨터 실습·AI 구현 체험 UNIST(울산과학기술원)와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가 함께 미래 슈퍼컴퓨팅 인재 양성을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UNIST..

2024.07.29by 배종인 기자

image

백금 필요없는 촉매로 저비용 그린수소 생산

▲이오노머 전기화학적 산화 방지 전체 전략 모식도   UNIST, 이오노머 열화와 산화 예방해 수소 생산 효율 개선 백금이 필요없는 값싼 촉매를 이용해 수소 생산 장치의 성능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향후 저비용 그린수소 생산..

2024.07.24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