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8by 배종인 기자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김동혁, 최윤석 교수 및 탄소중립대학원 임한권 교수팀이 컴퓨터가 독립적으로 훈련하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배터리 부품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 DeepSUGAR를 개발했다.
2023.10.24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이동욱 교수팀이 기체를 생산하는 전극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큰 면적의 하이드로젤 박막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통해 그린 수소와 같은 청정 기체 원료를 손쉽게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2023.09.15by 배종인 기자
UNIST 학생창업기업 파이리코가 개발한 ‘다중 바이오인식 기반 반려동물 개체식별 기술 표준’이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회의에서 국제표준으로 사전채택 됐다.
2023.08.29by 배종인 기자
이차전지 음극재에서 실리콘 크기를 5㎚ 이하로 줄여 전도성 탄소 입자에 균일하게 분산해야 수명저하와 가스발생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연구됐다. 이에 관련 기술도 개발돼 향후 실리콘 음극재 개발이 더욱 활성화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3.08.24by 배종인 기자
2차원 물질 기반 고성능 p형 반도체 소자 제작기술이 개발돼 초미세화 기술이 적용될 차세대 상보형 금속산화 반도체(CMOS) 산업에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3.08.03by 배종인 기자
UNIST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50도의 저온에서 텔레륨(Tellurium)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박막 증착 공정법을 개발했다.
2023.07.26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이용훈)는 김황·이희승 교수팀이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인 레드닷(Red-dot) 디자인 어워드 2023에서 커뮤니케이션 부문 베스트 오브 베스트(Best of Best)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2023.07.20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이용훈)가 부드럽고 유연한 소프트 로봇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부품인 ‘소프트 밸브’ 기술을 개발해 향후 로봇 경량화 및 스파크가 튀는 환경이나 물속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3.07.10by 배종인 기자
사람의 피부처럼 스스로 회복되고 늘어나면서도 초고효율 열전성능을 지닌 소재가 개발됐다. 배터리 걱정 없이 인체의 ‘열’만으로 충전이 가능해, 착용 기술(Wearable technology)의 상용화에 한 발짝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3.05.11by 배종인 기자
UNIST(울산과학기술원)가 UAE(아랍에미리트) 최대 국영 석유회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디지털 탄소중립 시장 개척에 나선다. AI(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대규모 정유 및 석유화학 공정의 탈탄소 최적화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는 등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