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08by 권신혁 기자
AI 전문 인재 양성과 AI산업 육성을 위해 울산이 지역 거점으로서 AI 기술 개발과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2022.12.01by 배종인 기자
UNIST 전기전자공학과가 ‘반도체 설계 올림픽(ISSCC)’에 논문 3편이 채택되며, UNIST의 전력 관리와 센서 IC 기술이 세계무대에서 인정받았다.
2022.11.21by 김예지 기자
UNIST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팀은 15일 ‘금속 공정조건에 따라 예상되는 금속 표면 3D 형상’을 실제 데이터 기반으로 가상 제조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2022.10.04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이용훈)가 반도체 패터닝(Patterning)을 사진을 뽑아내듯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향후 패터닝을 저비용, 단순 고정으로 실현 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2.09.06by 배종인 기자
‘테라헤르츠파(THz) 대역폭’을 사용하는 6G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다변하는 능동성을 갖춘 특별한 소자 재료가 개발돼 향후 테라파와 적외선 하이브리드 통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2.09.05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이용훈) 연구진이 반도체 소자 속 반도체와 금속 사이를 ‘1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로 줄이면서 1나노 반도체 개발이 눈앞에 다가왔다.
2022.08.30by 배종인 기자
가볍고 잘 휘어지는 ‘유기 반도체’를 실제 반도체 소자에 응용할 가능성이 열렸다. 실리콘 같은 ‘무기 반도체’에 못 미치던 성능을 보완한 새로운 ‘2차원 유기 반도체 소재’가 합성된 덕분이다.
2022.07.11by 배종인 기자
UNIST와 울산의대가 공학적 관점에서 기술혁신을 주도할 의과학자 양성에 손을 맞잡으며, 향후 의료산업 혁신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2.06.27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이용훈)가 비대면 진료 시스템 연구를 본격화하며, 스마트 헬스케어 중심 디지털 인재양성 및 의료기술의 사회적 가치 향상 등이 기대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황화텅스텐 같은 2차원 반도체 물질을 돌돌 말았을 때 나타나는 벌크 광기전 효과를 규명하며, 신개념 태양전지·충전없이 작동하느 적외선 센서 등 신개념 반도체 개발이 기대된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