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image

펨토초 레이저 활용 반도체 미세패턴 형성

▲펨토초 레이저의 편광을 다르게 하여 만든 다양한 형태의 흑린 나노 구조체들   광학 현상 이용 반도체 소재 나노미터 수준 자유자재 조각 반도체 초미세 회로 패턴 공정에서 극자외선 노광 장비가 가진 높은 희소성으로 인해 차세대 포토리소그래피..

2023.03.09by 배종인 기자

image

지방 조직 미세 환경 모사 ‘생체모사칩’ 개발

  비만 관련 질병 규명·치료제 개발 가능 지방 조직의 미세환경을 모사한 생체모사칩이 개발돼 비만관련 질병 규명 및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팀은 인체 백색..

2023.03.06by 배종인 기자

image

스마트 콘택트렌즈 상용화, 3D 프린터로 열었다

▲AR용 스마트 콘택트렌즈 구성   전기연·UNIST, 렌즈 디스플레이에 마이크로 패턴 인쇄 AR 구현 3D 프린터 기술을 이용해 내비게이션 기능 가진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제작 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 개발돼 향후 스마트 콘택트..

2023.02.07by 배종인 기자

image

비싼 장비 없이도 왜곡된 영상 복원하는 방법 나왔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박정훈 교수팀   UNIST, 왜곡영상 숨은 정보 추출 고해상도 복원 비싼 장비가 없이도 왜곡된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이 개발돼 자율주행용 고품질 영상, 살아있는 동물 내부 관찰 등에 적용이 기대된다. UNIST(총..

2023.01.04by 배종인 기자

image

㈜후성·UNIST, Low GWP 식각기술 개발 본격화

  개방형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 UNIST(총장 이용훈)와 ㈜후성이 Low GWP 식각기술 개발 공동 연구에 나서며, 산학 융합 연구 및 반도체 소재 발전 등 미래기술 개발이 기대된다. UNIST는 15일 제4공학관(110동)에서 ..

2022.12.20by 배종인 기자

image

항암제 효능, “AI로 예측한다”

▲환자맞춤형 항암제 효능 예측 모델인 RAMP의 개념도 (자료 - UNIST)   UNIST·고려대·한양대, 항암제 반응성 예측 AI 개발·맞춤 치료 가속화 똑같은 암 환자라도 항암제 효능은 달라질 수 있다..

2022.12.19by 권신혁 기자

image

UNIST, 동남권 AI 혁신 생태계 앞장

▲인공지능 혁신의 날 (사진 - UNIST)   인공지능 혁신의 날 개최·인공지능혁신파크 산학협력 성과 발표 AI 전문 인재 양성과 AI산업 육성을 위해 울산이 지역 거점으로서 AI 기술 개발과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2022.12.08by 권신혁 기자

image

UNIST, 전력 관리·센서 IC 기술 세계 인정

▲(왼쪽 뒷줄부터 시계방향으로)UNIST 전기전자공학과의 김재준 교수, 신세운 교수, 정연우 연구원, 이승주 연구원, 김현중 연구원     ISSCC 논문 3편 채택,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입증 UNIST 전기전자공학과가 &lsq..

2022.12.01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금속 표면 가상 AI 제조기술 개발

  정임두 UNIST 교수팀, AI 기반 3D 형상 제조 성공 표면 특성 획득시, 품질 편차 낮춰 생산성 향상 기여   금속 표면을 가상으로 제조하는 AI 기술이 개발돼 제조현장에서 공정 작업자에 따른 품질 편차를 낮춰 생산성 향상에..

2022.11.21by 김예지 기자

image

UNIST, 반도체 패터닝 ‘사진 뽑듯’ 간단하게

▲이번 연구에 참여한 (왼쪽부터)이지석 교수, 정상균 연구원, 손재성 교수, 백성헌 연구원     UNIST, 반도체 패터닝 ‘사진 뽑듯’ 간단하게 저비용·고효율 무기물 광학 프린팅 기술 개발 ..

2022.10.04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