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언_8월_전력없는 AI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UNIST
UNIST
image

UNIST, 6G 통신용 新메타표면 개발

▲메타표면 제작과정     이산화바나듐 공정 혁신, 테라파와 적외선 하이브리드 통신 기대 ‘테라헤르츠파(THz) 대역폭’을 사용하는 6G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다변하는 능동성을 갖춘 특별한 소자 재료가 개발돼 ..

2022.09.06by 배종인 기자

image

‘1나노 반도체’ 눈앞

▲2차원 텔루륨화 백금 화합물 기반 미세 접합 및 고성능 반도체 구현   UNIST, 원자층 트랜지스터 제조기술 고성능 반도체 소자 미세화·고집적화 UNIST(총장 이용훈) 연구진이 반도체 소자 속 반도체와 금속 사이를 &..

2022.09.05by 배종인 기자

image

잘 휘는 ‘유기반도체’ 실적용 가능성 열렸다

▲HP-FAN의 필름 형태 합성 사진   UNIST, ‘HP-FAN 2차원 유기 고분자 구조체’ 합성 가볍고 잘 휘어지는 ‘유기 반도체’를 실제 반도체 소자에 응용할 가능성이 열렸다. 실리콘..

2022.08.30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울산대, 의과학자 양성 ‘맞손’

▲이용훈 UNIST 총장(좌)과 오연천 울산대 총장(우)이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학부생 의과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형 HST’ 추진 UNIST와 울산의대가 공학적 관점에서 기술혁신을 주도할 의..

2022.07.11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비대면진료 시스템 연구 본격화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최종 선정 UNIST(총장 이용훈)가 비대면 진료 시스템 연구를 본격화하며, 스마트 헬스케어 중심 디지털 인재양성 및 의료기술의 사회적 가치 향상 등이 기대된다. UNIST가 과학..

2022.06.27by 배종인 기자

image

충전無 적외선 센서 나온다

▲(a) 이중층 TMD 나노튜브의 구조 모식도. (b) 본 연구에서 핵심으로 다룬 단일층과 이중층의 시프트 전류. 이중층의 시프트 전류는 각각의 단일층이 갖는 시프트 전류보다 약 20배 더 큰 광전류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이고 있음 (노란색 화살표). (c) 노란..

2022.06.27by 배종인 기자

image

현대차그룹·UNIST, 고효율 태양전지 소자 개발 맞손

▲(왼쪽부터)이종수 현대자동차 선행기술원장과 이용훈 UNIST 총장 (사진 제공: UNIST) ‘현대차그룹-유니스트 공동연구실’ 협약과 현판식 진행 2025년까지 공동연구 추진, 태양전지 세계 석학 참여   U..

2022.06.13by 성유창 기자

image

​UNIST, 6G 저전력·초고속 반도체 소자 개발

▲이차원 물질 기반 비휘발성 6G 스위치 UNIST 김명수 교수 연구진, 2차원 반도체 기반 아날로그 스위치 개발 대기전력 0, 에너지 효율성 만족…차세대 6G 시스템 응용 가능 전기 효율성이 높고, 신호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2022.06.07by 김예지 기자

image

UNIST, 무어의 법칙 한계 뚫을 차세대 소재 개발

▲제1저자인 마경열 연구원인 육방정계 질화붕소가 코팅된 기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육방정계 질화붕소 단결정 다층 박막 형태 합성 봉지막·멤브레인·이차전지·양자광원 등 응용기대 UN..

2022.06.03by 배종인 기자

image

나사 풀림 위험 감지하는 똑똑한 금속

▲L-PBF 기법을 활용한 지능형 금속 제작 개략도(A : 4가지 지능형 금속 제작 구성요소(1차 L-PBF 부품, 프로텍티브 레이어, 스트레인게이지 센서, 2차 L-PBF 부품), B : 3단계로 구성된 지능형 금속 제작 과정, C : 프로텍티브 레이어를 활용한 ..

2022.05.30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