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7by 권신혁 기자
반도체 침체가 최저점을 통과하고 있다. 삼성전자 2분기 잠정 실적이 발표되며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 개선 기대감과 예상보다 침체가 길어질 것으로 보는 L자형 침체 시선이 교차되고 있다.
2023.06.12by 권신혁 기자
인공지능 기술과 소프트웨어로 기능하는 자동차 등 디바이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양이 막대해지고 있다. 늘어나는 데이터 양에 대응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추는 데 시장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단순히 데이터 처리 속도를 만족하면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양까지 충족하기 위해선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메모리 속도가 필수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
2023.05.17by 권신혁 기자
16일 양재 엘타워에서 한국반도체산업협회(KSIA)가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와 JEDEC 포럼을 개최했다.
2023.05.10by 권신혁 기자
메모리 시장이 2분기를 정점으로 감산 및 신규 수요를 통한 재고 축소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 가운데 D램과 낸드플래시 평균판매가격(ASP)이 당초 예상치를 뛰어넘는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23.04.25by 권신혁 기자
생성 AI와 챗GPT 등 기술단에 머물던 AI가 서비스화·제품화되면서 인공지능이 메모리 수요를 견인하고 일부 품목에서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 특히 AI 서버 부문에서 연간 10%대 이상으로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시장은 고용량 서버 D램을 주목하고 있다.
2023.04.19by 권신혁 기자
최근 IT 커뮤니티와 유튜브를 중심으로 삼성 DDR5-5600 16GB 일부 제품의 불량이 증가했다는 의혹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2023.03.23by 권신혁 기자
미국 반도체 가드레일 세부규정이 발표된 가운데 중국 내 설비 업그레이드를 통한 생산량 확대는 가능할 것으로 전망돼 업계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중국은 국제 산업망을 저해한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2023.02.01by 권신혁 기자
전세계 반도체 생태계를 아우르는 세미콘 코리아가 개막했다. 글로벌 칩 메이커부터 반도체 소부장 기업까지 전체 반도체 공급망 기업의 최신 반도체 기술이 한자리에 모였다.
2023.01.25by 권신혁 기자
현존 최고속이던 초당 8.5기가비트 동작속도를 뛰어넘는 초당 9.6기가비트 모바일 D램 제품이 등장했다. SK하이닉스가 최고속 동작속도를 경신하는 신제품을 2개월 만에 출시하며 메모리 기술력을 다시 한 번 과시했다.
2023.01.17by 권신혁 기자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한국 반도체 산업에서 기술 격차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고 전경련 전문가 좌담회에 참석한 박기순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는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 시대부터 이어진 대중국 기술 억제가 반도체 격차 유지에 도움이 됐다는 것이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