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21by 김예지 기자
과기부는 14일부터 19일까지 올해 11월에 UAE에서 개최 예정인 세계전파통신회의(WRC23, 193개국 참가 예정)를 준비하기 위해,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제6차 아태지역기구 준비회의(APG23)에 참가했다.
2023.08.14by 김예지 기자
SKT는 지난 10일 ‘6G 백서’를 발간해 6G 표준화를 위한 핵심 요구사항과 미래 네트워크 진화 방향성을 제시했다. SKT는 6G 신규 후보 주파수로 4-10GHz 대역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나라는 28-30년을 목표로 26년 Pre-6G 시스템 기술을 시연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023.08.10by 김예지 기자
SKT는 6G 표준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요구사항과 미래 네트워크 진화 방향성을 제시하는 ‘6G 백서’를 10일 SKT 뉴스룸을 통해 공개했다.
2023.07.24by 김예지 기자
제4이통 출사표를 던졌던 미래모바일이 변함없이 제4통 출범을 계획하고 있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미래모바일은 이통3사 대비 경쟁력을 갖기 위해 2.3GHz 주파수 대역을 요구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본지는 미래모바일 이경수 상임고문(前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과 서면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제4이통 출범의 의지를 들어봤다.
2023.07.13by 김예지 기자
12일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위성통신 포럼, ETRI, 한국통신학회, 한국전자파학회, 위성정보통신학회가 6G 위성통신 컨퍼런스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발표에는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6G 위성통신 정책 및 동향, 6G 위성통신 표준활동에 대해 다뤘다. ITU는 전기통신분야의 기술 표준제정을 진행하는 표준화 기구다. 사실 표준화 기구인 3GPP에서 제안한 세부 기술 표준안을 평가해 최종 국제 표준을 채택한다. 위성 IMT-2020 비전의 주요 골자는 지상과 위성 통신 링크를 사용해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이다. 5G 위성통신을 위한 3GPP NTN 표준화 작업은 6G NTN으로 진화하고 있다.
2023.07.03by 김예지 기자
2028~2030년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6G는 초연결 시대 핵심기술로 자율주행·UAM·스마트시티·의료·VR 등 新사업 시장 창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6G포럼은 그간 이동통신 산업 활성화 지원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5G 이종산업 융합 및 B5G/6G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목표하고 있다. 본지는 6G포럼 장경희 집행위원장을 만나 우리나라 통신 정책 및 R&D 전략과 6G포럼의 비전 및 목표에 대해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2023.06.14by 김예지 기자
지난 8일 한국전자파학회는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전파 정책 및 신기술 워크숍을 열고 ‘5G+/6G 초공간 통신 정책 및 신기술’을 주제로 발표했다. 정부가 차세대 네트워크 모범 국가 실현의 비전을 세우고 6G 선도에 출력을 가하고 있다. 6G의 새로운 주파수 대안으로 어퍼 미드(Upper-mid) 대역이 가시화되고 있다.
2023.06.02by 김예지 기자
LG유플러스와 통신장비 제조업체 에릭슨엘지가 1일 네트워크에 AI·QoS 등 기능을 더한 차세대 코어 기술을 비롯해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 협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023.04.25by 김예지 기자
LG유플러스가 포항공과대학교, 키사이트와 함께 6G 이동통신 서비스 구현의 핵심인 주파수 커버리지 확장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환경에서 실증에 성공했다.
2023.04.17by 권신혁 기자
첨단 산업분야에서 기술 고도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기술 트렌드가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다. 고교·대학에서부터 첨단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 입장에선 최신 기술 전문화 교육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