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09by 신윤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스마트공장의 자발적 확산을 위한 주요 기반인 “스마트공장 표준화” 관련 심포지움이 열렸다. 이날 심포지움에서는 그간 스마트공장 표준화 추진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스마트공장 표준화 정책방향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산업부는 그간 업계와 협력하여 스마트공장 표준화를 추진하였고, 그 결과 마련된 표준 프레임워크, 표준 라이브러리, 표준화 로드맵, 국가 표준 개발안을 발표했다.
2016.01.28by 편집부
제품의 기획부터 설계, 생산, 유통, 판매까지 제조의 전 과정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로 통합해 제품을 생산하는 ‘스마트 팩토리’. 공장 내에 갖추어진 시스템과 기계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공장이 스스로 생산과 공정을 통제하고 작업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정말 말 그대로 ‘똑똑한 공장’이다.
2015.11.26by 편집부
쿠카 로보틱스 코리아㈜는 오늘부터 나흘간 열리는 ‘2015 창조경제박람회’에 참가해,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해답으로 지능형 협업 로봇 『LBR iiwa (엘비알 이바)』를 선보인다.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은 국내 최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용 진공로봇 개발기업인 ㈜티이에스(True Engineering Solutions Co., Ltd.)와 자동차산업 분야의 완성차. 엔진ㆍ변속기 생산라인의 품질 시험 장비를 제작하는 ㈜에이앤지 테크놀로지(A&G Technology Co., Ltd.)를 유니버설로봇의 한국 공식 유통사로 추가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유니버설로봇은 기존 유통사인 비전세미콘㈜을 포함해 국내 총 3개의 유통사와 함께 손잡고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서게 됐다.
2015.11.19by 편집부
쿠카 로보틱스 코리아㈜는 오는 2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시작되는 ‘2015 창조경제박람회’에 인더스트리 4.0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자사의 지능형 산업용 로봇 『LBR iiwa(엘비알 이바)』를 출품한다고 19일 밝혔다.
2015.11.16
ST의 ‘에스티코메트’가 ERDF(유럽지역발전기금)의 스마트 그리드 프로젝트 참여 등으로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 계량기 시스템온칩 제품군 에스티코메트(STCOMET)가 재생 에너지와 같은 다양한 에너지원에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적용하여 지속 가능한 전기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2015.11.16by 편집부
지난해 인벤시스를 인수해 공정 자동화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한층 강화한 슈나이더 일렉트릭도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정유, 석유화학 업계 고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고, 수익 극대화를 통한 새로운 성장 비전을 제시했다.
2015.11.10by 편집부
글로벌 네트워크기업 시스코에서 예상한 사물 인터넷(IoT)의 잠재가치는 자그마치 14조 달러이다. 그 중 스마트 공장 부분이 27%인 3조 8000억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은 초연결, 융합을 통해 구현되는데, 가장 기반이 되는 기술이 바로 IoT이다.
2015.11.09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는 고객과 파트너들이 이러한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는국내 PLM 업계의최대 사용자 컨퍼런스인 ‘Siemens PLM Connection Korea 2015’를지난 11월 5일, 6일양일간 개최했다. 행사에는 Dell & NVIDIA, HP 등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의 전략적 파트너를 포함, 1,000여 명의 사용자와 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2015.09.04by 편집부
제조 산업에 정보 통신 기술(ICT)이 구현되면서 최근 M2M 통신 및 클라우드 솔루션의 산발적인 사용에 제한을 주고 있다. 하지만 완전한 자동화 공장 개발에 있어 핵심 공정과 사이버 보안 노력, 그리고 첨단 로봇 인공지능 구현을 위해 클라우드 도입은 중요하다. 이에 산업 자동화 분야의 강력한 장기 가능성은 IT 서비스나 통신 장비, 고정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제공사들에서 나타나고 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