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4by 이수민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며 면대면 상황을 피하려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많은 기업이 재택 및 원격 근무를 도입하면서 비대면 및 원격 기반의 IoT 디바이스를 비즈니스에 도입하려는 경영자가 많아지고 있다. 효율적인 IoT 디바이스를 개발하려면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할까?
2020.03.20by 최인영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캐리어보드 1개와 M10 모듈, 확장 보드로 구성된 NXP 반도체의 QN9090DK 개발 키트를 공급한다. 캐리어보드에는 NFC 태그, GPIO 커넥터, 외장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 LED, 확장보드를 연결하는 아두이너 헤터가 결합되어 있으며 확장 보드는 스위치, LED, 전위차계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20.03.13by 최인영 기자
차량 간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더넷망 통신을 보호하는 사이버 보안 솔루션에 대한 기술력에 대한 관심도 커져가고 있다. NXP와 Argus는 NXP S32G를 기반으로 이더넷망을 보호하는 통합 솔루션을 개발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ADAS를 비롯해 다양한 이동성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됐다.
2020.03.19by 최인영 기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가 외부 SPI 플래시 메모리에서 부팅되는 시스템을 위해 루트킷 및 부트킷 등의 악성 멀웨어를 차단할 수 있는 암호화지원 MCU 모델 CEC1712를 공개했다. Soteria G2 커스텀 펌웨어가 장착된 이번 제품은 보안 부팅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ROM 기반 기본 탑재 보안 부트로더를 시스템 신뢰루트로 사용한다.
2020.03.04by 이수민 기자
Arm이 소형 IoT 및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온디바이스 머신 러닝 처리 성능을 제공하는 Cortex-M55 프로세서, 그리고 Ethos-U55 microNPU를 공개했다. Cortex-M55는 Arm의 헬륨 벡터 프로세싱 기술을 통해 전 세대 Cortex-M보다 ML 성능을 15배, DSP 성능을 5배 높였다. 또한, Ethos-U55에 페어링하면 기존 Cortex-M 프로세서보다 ML 성능을 480배 향상할 수 있다.
2020.03.03by 최인영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BLDC 모터제어용 컨트롤러 Qorvo PAC5527을 공급한다. 전력 및 모터 제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이 제품은 SoC 컨트롤러로 150MHz Arm Cortex M4F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DC팬, 드론, RC 시스템 등 브러시리스 모터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2020.02.27by 이수민 기자
Arm은 2019년 4분기에 자사 파트너들의 Arm 기반 칩 출하량이 64억 개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64억 개 출하량은 이는 지난 2년간의 단위 출하량 중 3번째로 높은 수치다. 그중 Cortex-M 프로세서의 출하량은 42억 개를 기록했다.
2020.02.24by 이수민 기자
인피니언의 IMC300은 iMOTION MCE와 Arm Cortex-M0 코어 기반의 MCU를 결합하여 높은 애플리케이션 유연성이 필요한 가변속 드라이브에 적합하다. IMC300은 MCE 2.0을 구현하여 즉시 사용 가능한 모터 제어와 선택적인 PFC 제어를 제공한다. 모터 제어에 MCE를 적용하고, 고객은 내장된 Arm MCU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2020.02.20by 최인영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보안성을 높인 MCU 초저전력 STM32L5x2를 출시했다. Arm TrustZone 기술로 구현된 독자적 보안 기능으로 PSA 인증 레벨2를 획득했으며 에너지 민감형 애플리케이션 동급 대비 최고의 전력 관리 기능을 제공해 산업용 IoT에 적합하다.
2020.02.04by 이수민 기자
RISC-V는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RISC) 기반 개방형 명령어 집합(ISA)이다. 무료면서 개발자가 원하는 설계 방향대로 성능에 맞게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유명 반도체 기업들이 RISC-V 기반 프로세서를 하나둘 출시하면서 RISC-V 보안에도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RISC-V 기반 프로세서가 주로 채택되는 IoT 기기 및 시스템에서 보안은 그 어떤 애플리케이션보다 중요한 가치이기 때문이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