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31by 김예지 기자
SK텔레콤은 드론과 이미지 분석 AI를 통해 통신탑의 안전도를 점검하는 시스템을 개발, 이를 현장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통신탑 노후화로 인한 사고 예방뿐 아니라, 드론 활용 점검으로 점검자가 통신탑에 직접 오르지 않아 안전을 확보할 수 있었다.
2023.01.26by 김예지 기자
위성 통신은 점차 통신 시장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등장하고 있다. 위성 통신은 인공위성을 이용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위성을 상공으로 쏘기 때문에 일반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지역이나 해상의 선박 위 등 특수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6G 기술의 중요한 키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3.01.25by 김예지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 이동통신사업자 KDDI와 작년 9월부터 진행한 5G 단독모드(Stand Alone, SA) 상용망 환경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
2023.01.12by 김예지 기자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인 엣지 컴퓨팅이 팬데믹으로 인해 급성장하며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빠르고 안정적이며, 저렴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 덕분에 엣지 컴퓨팅 기술은 보안, 의료, 자율주행차, 스마트팩토리 등을 넘어 광범위한 확대로 영역이 확대되며 핵심 디지털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통 3사가 5G MEC 기술 선점을 위한 본격적인 경쟁에 뛰어 들었다. #엣지컴퓨팅 #모바일엣지컴퓨팅 #5G #MEC #IDC #SKT #KT #LGU+
2023.01.10by 김예지 기자
SK텔레콤은 노키아와 클라우드 기반의 오픈랜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망에 설치하고, 필드 시험을 통해 안정적인 5G 서비스 속도 및 커버리지 성능을 확인했다
2023.01.05by 권신혁 기자
[편집자주] 글로벌 경제 위기 속에서 2023년 새해가 밝았다. 산업과 기술 패권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가운데 차세대 기술 개발에 국가의 사활이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위기 극복의 단초가 될 엄중한 시기, 국내 전자파 분야 기술 과학의 산실 한국전자파학회 25대 회장으로 임명된 육종관 신임회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2023.01.05by 김예지 기자
스피스테스트가 낸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속도 순위는 22년 8월 19위(210.72Mbps) -> 22년 11월 34위(171.12Mbps)로 크게 하락했다고 밝혀진 바 있다. 과기부는 우클라가 인터넷 속도 및 순위 외에 각국의 측정서버 개수 및 성능, 국가별 전체 측정건수, 측정속도 분포 등 구체적인 측정조건·방식·내용을 공개하지 않아 국가별 객관적 비교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2023.01.04by 권신혁 기자
엔비디아는 2023년이 엣지 AI의 해라고 표현하며 경기 침체 시국 속에서 자동화와 효율성을 중요시하는 기업들은 엣지 AI가 확실한 투자 영역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업이 디지털 기업으로 진화함에 따라 △앰비언트 컴퓨팅 △인더스트리 5.0 △디지털 트윈 △지속가능성 키워드가 주요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2023.01.04by 김예지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2023년 핵심전략·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글로벌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일 2023년 신년 연구·경영 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골자는 정보통신 분야 전략·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국제표준기술 발굴과 산업화 지원 확대를 통해 기술 선도에 나서 국가 성장동력의 기술혁신을 이룬다는 방침이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