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Battery
image

[연재기획-사용후 배터리 산업①]친환경성·핵심광물 해외 의존도 탈피 큰 가치

친환경성·핵심광물 해외 의존도 탈피 큰 가치   온실가스 배출량, 배터리 2차 활용 시 22%↓·재활용 시 4% ↓ 자원 수입 의존 낮춰야…배터리 재활용, 원료 공급망 확보 기여 ..

2024.04.24by 성유창 기자

image

2050년 600조 전망 폐배터리 시장 주목…산교연,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 세미나 개최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 통합관리체계 및 정책 추진 방향 소개 양극소재 재활용 위한 건식 신공정 기술개발 사례·기대효과 공유   사용 후 배터리 시장규모가 2030년 70조원에서 2050년에는 600조원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룰 것으로..

2024.04.17by 성유창 기자

image

“전고체전지 고성능·고에너지 밀도 구현”

▲전극 첨가제 개념도   KETI, 전고체전지 차세대 양극 기술 개발 성공 전고체전지의 고성능, 고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양극 기술이 개발돼 향후 전고체 전지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기..

2024.04.17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연, 전기차 충전 표준 개발 위해 전세계 전문가 안산에 모았다

▲지난 2022년 한국전기연구원 안산분원에서 열린 테스티벌에서 김남균 원장(왼쪽) 및 차린(CharIN) 안드레 카우풍 사무총장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글로벌 리더스 위크, ISO·CharIN·OCA 등 100여명 참..

2024.04.16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차·자율주행 신뢰성 확보하라…PHM 기술 주목

PHM, 예지 진단 통해 고장 시점 ‘사전’에 예측 배터리 열폭주·자율차 운행 중단 및 사고 발생 방지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이 잇따르는 사고로 인해 신뢰를 잃은 지금, 고장을 사전에 진단하고 예측하는 기술인 PH..

2024.04.08by 성유창 기자

image

이차전지 산업 탄소경쟁력 강화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안내서 발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대상, 기업 넘어 공급망 전반으로 확장 EU 배터리법 요구사항 반영…이차전지 업계 활용도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대상이 기업을 넘어 공급망 전반으로 확장되고, 이차전지 업계 대응이 우선적..

2024.04.08by 성유창 기자

image

한국미래기술교육硏,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기술 개발 관련 세미나 개최

사용후 배터리 시장 규모 2050년 600조원 성장 전망 환경문제 개선·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 기여…순환경제 핵심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이 2024년 사용후 배터리 산업의 제반 트렌드와 기술 개발 방향은 물론 정책과..

2024.04.04by 성유창 기자

image

산업부, “EU 핵심원자재법·공급망실사지침 의한 기업부담·기회요인 예의 주시”

EU 핵심원자재법, 역외기업 차별조항 미포함…韓 기업 영향 제한적 공급망실사지침, 대상범위 대폭 축소…4월 EU 의회서 승인 전망   EU 핵심원자재법이 역외기업 차별조항 등은 포함하고 있지 않아 우리나라 기업에 미치는..

2024.03.26by 성유창 기자

image

지멘스, “‘3D 디지털 트윈’ 배터리 수명 예측 도움”

▲지멘스 오병준 한국지사장 전기차 대중화…배터리 에너지 효율성 제고 엑셀러레이터, 디지털트윈·자동화·생성형 AI 솔루션 지멘스-LG에너지솔루션·토요타·보쉬 파트너십 확대   ..

2024.03.18by 김예지 기자

image

“배터리 핵심 광물 비중 더 높아졌다”

▲허철호 지질자원연구원 본부장 배터리 벤처 캐피탈 투자, 60%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에 치중 인니, 2030년 니켈 공급 4,464kt 중 2,534kt 담당 예상 넷제로·LFP하이니켈 배터리 성장, 코발트 수요 감소 이끈다   ..

2024.03.12by 성유창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