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10by 이수민 기자
풀필먼트는 온라인 판매자가 영업에만 집중하도록 데이터 연동을 통해 물류에 대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으로, 대표적인 제공 업체로 파스토가 있다. 파스토는 풀필먼트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올해 6월, 2020년 1월 대비 월 방문자 수 355%, 누적 회원 가입 수 1,180%, 누적 계약 고객 수 770% 성장이란 성과를 냈다.
2021.08.05by 배종인 기자
인공지능(AI), 로봇, IoT 등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자동화 기술의 보급으로 상품 적재 면적을 줄이면서, 최대의 상품을 신속 처리하는 스마트물류가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물류를 통해 물류 인력을 최적화할 수 있고, 물류 근로자의 안전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스마트물류 보급에 예산을 투자하며, 스마트물류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2021.07.28by 이수민 기자
KT, 한화/기계는 스마트팩토리 신규상품 출시 및 제조 분야 디지털 전환 사업협력 추진을 주요 내용으로 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사는 5G에 기반을 둔 스마트팩토리의 사업 주도권을 확보하고, 제조 분야 DX 사업 경쟁력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협동 로봇 신규상품 출시, 신규상품 활용 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고객사 공동 발굴·사업화, 대형 프로젝트 발굴 및 제조 분야 DX 사업협력을 추진한다.
LG전자가 제1회 로봇 인큐베이션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로봇이 일상으로 들어온 상황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로 신규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다. 위험하고 반복적인 일 대신 인간이 더 가치 있는 것들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로봇들을 선보이겠다는 의미다.
2021.07.16by 강정규 기자
콩가텍 코리아가 충격 및 진동 방지 성능을 높인 11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솔더링 방식 RAM 기반 컴퓨터온모듈(COM) 신제품인 ‘conga-TC570r 콤 익스프레스’를 출시했다. 동작 온도 범위가 ?40°C ~ 85°C 수준인 ‘콤 익스프레스 타입 6 컴팩트 모듈’은 열악한 운송 조건의 내충격, 내진동 요건을 충족한다.
2021.07.05by 강정규 기자
로봇 운용과 관련해 국가 자격증 제도가 없는 상황에서 유니버설 로봇이 한국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의 인증교육센터를 통해 첫 인증서 수여식을 진행했다. 로봇캠퍼스는 로봇 분야의 융합생산기술 인력을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3월 개교했다.
2021.07.02by 이수민 기자
산업용 센서 솔루션 업체, 시크가 맥심의 소프트웨어 설정 가능 디지털 입출력 제품으로 자사의 '나노스캔3' 라이다 기반 안전 레이저 스캐너의 크기를 전작인 '마이크로스캔3' 대비 절반으로 줄였다고 밝혔다. 맥심의 디지털 입출력, IO-Link 및 모션 제어 솔루션 등은 제품 구성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험 운전 시간을 단축하며 전력을 절감해준다.
2021.06.28by 이수민 기자
코로나19 확산에 호텔 이용객들의 대면 서비스에 대한 불안 심리가 커진 가운데, AI 서빙 로봇이 이를 해결할 비대면 서비스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이에 SK텔레콤이 우리로봇, 코가플렉스, 영우디에스피, 바르미인터불고호텔그룹 등 4개 사와 손잡고 AI, 실내 자율 주행 기술 기반의 AI 서빙 로봇 상용화를 위한 업무제휴 협약식을 대구 인터불고 호텔에서 진행했다.
2021.06.16by 배종인 기자
기계연구원이 로봇 의족과 의수,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 인간형 핸드 및 만능 그리퍼, 자율 주행 무인 트랙터 등 최신 연구 성과와 함께 차세대 로봇기술 개발을 위한 혁신로봇센터(센터장 박찬훈) 설립을 통해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미래를 위한 따뜻한 로봇 기술 개발에 앞장선다.
2021.06.14by 이수민 기자
생기원이 스마트팜 구축에 필요한 운송, 방제, 리프팅 기능을 통합한 로봇을 개발하고 상용화에 성공했다. 생기원 스마트팜 다기능 농작업 로봇 농장 바닥에 설치된 마그네틱 선로의 자력을 최대 20㎝ 높이에서 감지하고, 이를 따라 움직이는 자계유도방식 자율주행 플랫폼을 채택했다. 마그네틱 와이어 선로만 필요해 설치와 회수가 쉽고 운용비가 저렴하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