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2by 이수민 기자
온로봇이 안전하고 정확한 MG10 자석 그리퍼를 출시했다. 신제품은 제조, 자동차, 항공 우주 분야 등에서 자재 운반 관리, 조립, 머신 텐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법도 간편하다. 모든 주요 로봇 브랜드와 호환되며, 압력 조절 및 그립 감지 성능을 높였다.
2021.03.10by 명세환 기자
심해에서 장시간 동작해야 하는 ROV는 임무 수행 공간 확보 능력, 해류 변화를 견디는 추력, 안정적인 영상 시야 제공을 위한 안정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고밀도의 전력 분배 네트워크(PDN)가 필요하다. 비디오레이는 이러한 특성을 갖춘 '디펜더 ROV' 제작을 위해 바이코와 협력했다.
2021.02.28by 이수민 기자
온로봇이 패키징과 팔레타이징 작업에 효과적인 VGP20 전기 진공 그리퍼를 출시했다. VGP20 그리퍼는 모든 로봇 브랜드와 호환되며, 가반 하중이 20kg이다. 압축 공기가 필요한 기존 공압 그리퍼보다 사용하기 간편하며, 유지관리 비용도 최대 90% 낮다.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정밀 기류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는 용도에 맞게 그립 유형을 소프트 및 하드로 변경할 수 있다.
2021.02.25by 이수민 기자
로보틱스 및 자율 시스템 기술의 발달로 오늘날 로봇은 기존의 로봇이 할 수 없었던 보다 높은 차원의 작업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문 지식의 부재와 한정된 구축 시간에 따라, 진보한 자율 기술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는 것에는 애로가 따른다. 매스웍스는 자율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생태계를 제공하며, 모델링, 시뮬레이션, 테스트, 배포를 통합한 로보틱스 AI 솔루션과 기술 서비스로 고객을 지원하고 있다.
2021.01.22by 명세환 기자
생기원이 재난현장에서 소방관들의 안전을 도모하며, 어렵고 복잡한 구조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재난대응 특수목적 기계를 개발했다. 개발된 장비는 4개의 무한궤도 하부모듈 위에 사람의 양팔 역할을 하는 6m 길이의 작업기 한 쌍이 달린 형태다.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작업기를 자신의 팔처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비숙련자도 직관적으로 조종할 수 있다.
2021.01.22by 이수민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총 4,376억 원을 투입하는 2021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모집하는 통합 공고를 냈다. 이번 공고는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4,002억 원), 로봇 활용 제조혁신(181억 원) 등 총 7개 내역 사업으로 구성됐다.
2021.01.15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가 CES 2021에서 집을 중심으로 개인의 생활방식과 취향까지 고려하는 신제품과 AI, IoT 기반 서비스와 로봇들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에서 처음 공개한 제트봇 AI는 인텔 모비디우스 솔루션이 탑재된 AI 로봇청소기로, AI 솔루션과 라이다 센서, 3D 센서를 활용해 작은 장애물도 판별할 수 있어 깨지기 쉬운 물건, 전선, 양말, 반려동물 배변 등을 회피하며 청소할 수 있다.
2021.01.08by 이수민 기자
AI 원팀이 공동 R&D 첫 성과로 4종의 AI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AI 기술 및 솔루션은 KT와 현대중공업그룹 사업현장에 적용된다. AI 원팀은 이번에 공개된 4개 프로젝트 외에도 AI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7개 프로젝트를 추가로 추진할 방침이다.
2020.11.27by 이수민 기자
국가 산업의 대들보인 제조업이 최근 노동력 저하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협동 로봇은 이 문제를 해결할 주요 열쇠다. 온로봇 코리아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제품인 2FG7 그리퍼와 샌더 표면 마감 공정 자동화 도구를 공개하며 한국 제조업 자동화 시장에서의 포부를 밝혔다.
2020.11.17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 하나로TNS, 신세계건설, 보우시스템이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주관한 경기 반월·시화 단지 스마트 물류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사업의 사업자로 선정됐다. 스마트 물류 플랫폼은 산업단지 내 물류 자원을 입주 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물류체계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