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3by 이수민 기자
제조업이 강한 국가들이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세계적인 위기에 강하다. 이런 국가 산업의 대들보인 제조업이 최근 노동력 저하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협동 로봇은 이 문제를 해결할 주요 열쇠다. 온로봇 코리아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제품인 2FG7 그리퍼와 샌더 표면 마감 공정 자동화 도구를 공개하며 한국 제조업 자동화 시장에서의 포부를 밝혔다.
2020.11.06by 김동우 기자
국내 연구진이 고령자의 일상을 돕는 휴먼케어로봇 연구에 필요한 DB와 SW를 공개했다. ETRI는 2018년부터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와 협력, 고령자가 실제 생활하는 가정 30곳을 3D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해 데이터를 확보했다. 공개하는 데이터셋은 총 6,589개에 달한다. 이는 특히, 세계 최초로 고령자 실주거 환경에서 로봇 시점으로 촬영한 3D 행동인식 데이터라 큰 의미가 있다.
2020.10.29by 강정규 기자
2019년 전 세계 전문 서비스 로봇의 판매 가치가 2018년 대비 32%, 미국 돈으로 112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IFR이 발표한 월드 로보틱스 2020 서비스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로봇 살균 솔루션, 공장이나 창고에서의 로봇 물류 솔루션, 가정용 배송 로봇 등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서비스 로봇 시장이 더 활성화될 전망이다.
2020.10.28by 김동우 기자
LG유플러스는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일산 킨텍에서 개최되는 ‘2020 로보월드’ 전시회에 참가해 물류로봇과 무인지게차를 선보인다. 글로벌 지게차 전문 업체 클라크, 물류 자동화 업체 케이엔, AI기반 물류 솔루션 업체 무샤이니 등 주요 파트너사와 5G 통신 기반의 무인지게차?물류 로봇 등 다양한 산업용 솔루션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2020.10.22by 이수민 기자
중기부가 해외 진출기업의 국내 복귀 지원을 위해 지난 7월 공모를 통해 로봇활용 제조혁신지원사업에 국내로 복귀한 유턴 기업 6개 사를 최종 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국내 복귀기업으로 지정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로봇 도입 비용을 최대 50% 지원한다.
2020.09.25by 이수민 기자
사람 손처럼 정밀하면서도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로봇손 조작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생기원은사람 손동작을 모방해 로봇 손가락 세 개만으로 물체를 잡아 빠르고 정교한 팩인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립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0.09.21by 명세환 기자
개인용 서비스 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다르게 일상생활에서 사람과 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요구된다.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인 GEMS Hip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으로부터 국제표준인 ISO 13482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2020.09.17by 이수민 기자
중소·벤처기업이 자체 개발한 5G 콘텐츠, 융합 서비스, 인프라 장비를 시험·검증하기가 지금보다 수월해질 전망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과기정통부와 함께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5G 기반 인프라 장비·단말·디바이스 및 융합 서비스 개발·시험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5G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2020.07.10by 이수민 기자
에이디링크는 이클립스 재단 IoT 커뮤니티, OpenADx 워킹 그룹, ROS 2 테크니컬 스티어링 커미티와 협력하여 제작한 이클립스 싸이클론 DDS가 OSRF에 의해 티어 1 ROS 2 미들웨어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ROS 2 폭시 피츠로이는 이클립스 싸이클론 DDS를 RMW 계층의 기본 데이터 공유를 근간으로 하여 성능과 안정성을 높였다.
2020.06.16by 이수민 기자
에이디링크는 첨단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실시간 ROS 2 로봇 컨트롤러로 ROScube-X 시리즈를 출시했다. ROScube-X 시리즈는 엔비디아 젯슨(Jetson) AGX 자비에(Xavier) 모듈로 구동한다. 해당 모듈에는 첨단 로봇 시스템에 적합한 엔비디아 볼타 GPU, 듀얼 딥 러닝 가속기와 함께 GMSL2 카메라 커넥터와 같은 여러 인터페이스가 통합됐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