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0by 명세환 기자
소프트웨어 개발은 오늘날 차량 개발에 있어 중요한 과제다. 이에 NXP 반도체는 자사의 S32K 차량용 MCU 포트폴리오에 소프트웨어 개발을 간소화하는 S32K3 MCU 제품군을 추가했다. S32K는 무료 자동차 등급 드라이버로 개발을 가속하고, 보안 기능과 OTA 업데이트를 간소화해 안전 규정 준수도 용이하게 한다.
2020.10.19by 김동우 기자
Arm이 교육, 지식 공유, 협업, 개발 등을 통해 업계의 수준을 높일 새로운 온라인 컨퍼런스인 Arm DevSummit 2020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Arm에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자와 엔지니어를 위해 설계한 최초의 온라인 행사로, 한국과 미국, 중국, 대만, 일본 등 다양한 국가에서 개최된다. 국내 개발자들을 위한 Arm DevSummit 2020은 오는 11월 4일부터 5일까지 양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IoT를 이용해 쉽고 간편하게 기기를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개발 환경을 구축, 공개했다. ETRI는 IoT 기기를 만들기 위한 핵심 SW 프레임워크를 공개하고 디바이스 SW를 손쉽게 제작해 확산에 나선다. 이 SW 프레임워크는 경량형 운영체제(OS) 5종, 센서·통신 등 펌웨어, 자원관리 및 저전력 관리 모듈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모든 개발자가 마이크로서비스를 만들고 연결해 쉽게 프로그램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는 필요한 프로그램을 불러와 일부 과제만 수정해 수백에서 수천 행을 입력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2020.10.05by 이수민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S2-LP 초저전력 무선 트랜시버용 KNX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 KNX 소프트웨어는 ST의 STM32 MCU 및 BlueNRG-2 SoC 상에서 바로 실행되며, 초저전력 무선 KNX 노드를 생성할 때 필요한 인증된 KNX-RF 스택, RF 적응 레이어, S2-LP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다.
2020.09.29by 김동우 기자
과기정통부와 관세청이 대전테크노파크 디스테이션에서 인공지능(AI) 불법 복제품 판독 실증랩을 개소했다. 실증랩은 총 면적 288㎡의 규모로 제품의 디자인을 모방한 위조상품을 식별하도록 진성상품의 사진, 도면 등 관련 데이터를 가공·학습할 수 있는 시설과 장비를 제공한다.
2020.09.28by 이수민 기자
히어러블 디바이스는 2025년까지 6억 3,000만대 이상이 출하될 전망이며, 해당 제품 시장에서 상황인식 기능은 주요 소구점이다. 이에 CEVA는 센서나 프로세서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 히어러블 디바이스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힐크레스트 랩 모션엔진 히어를 출시했다.
2020.09.08by 명세환 기자
일렉트로비트가 시높시스의‘디자인웨어 ARC EM/HS FS 프로세서 전용 ‘EB 트레소스 클래식 오토사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자동차 반도체 기업,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가 오토사 표준을 기반으로 전장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히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한다.
2020.08.26by 이수민 기자
ETRI가 온디바이스 장치를 위한 고성능 저전력 비전 처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관련 국제 표준 컨소시엄인 크로노스 그룹으로부터 OpenVX 표준 규격 적합성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ETRI가 개발한 OpenVX 기반 결과물은 한 번의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로 다양한 하드웨어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2020.08.20by 강정규 기자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확장 및 예측 가능한 개방형 5G 및 밀리미터파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패스웨이브 디자인 2021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설계 및 검증 엔지니어는 이 솔루션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회로, 시스템 설계에 향상된 성능과 정확도를 더해 칩, 보드 및 시스템 제품 출시를 가속화할 수 있다.
2020.07.31by 이수민 기자
키사이트가 디지털 지능형 자동화 전문 기업인 에그플랜트를 인수했다. 이번 인수로 키사이트는 자동화된 소프트웨어 테스트 시장의 물리 및 프로토콜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반에서 혁신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두 기업 간의 측정 기술을 양 방향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더욱 넓은 지원 범위에서 솔루션의 차별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