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0by 성유창 기자
리 오토가 차세대 800V 배터리 전기차(BEV)에 온세미의 고효율 엘리트 실리콘 카바이드(EliteSiC) 1200V 베어 다이(bare die)를 채택하고, 향후 출시될 모델에 온세미의 8MP 고성능 이미지 센서 통합도 확대한다.
2024.01.09by 배종인 기자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인 온세미가 새로운 실리콘카바이드(SiC)를 이용한 DC 초고속 전기차 충전기 솔루션을 선보이며, 기존 IGBT 솔루션 대비 크기는 최대 40% 작고, 무게를 최대 52% 줄이면서도 고속 충전을 실현했다.
2023.11.21by 배종인 기자
온세미가 슬로바키아 피에쉬탸니(Piestany)에 전기차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연구소를 개관하며, 배터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xEV), 에너지 인프라(EI) 전력 변환 시스템용 시스템 솔루션 기술 개발에 본격 나선다.
2023.11.01by 권신혁 기자
차량용 반도체에 SiC 채택이 급상승하며 온세미 매출 실적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다. 늘어나는 SiC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에 있는 온세미 부천 팹을 증설하는 등 시장 점유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3.10.24by 권신혁 기자
온세미가 SiC 웨이퍼 케파를 최대 100만장까지 확충하며 SiC 전력반도체 시장 리더십 쟁취에 사활을 걸고 있다. 부천 S5 라인 준공이 완료되며 현 SiC 시장에서 2위의 점유율을 갖고 있는 온세미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3.07.28by 배종인 기자
온세미의 EliteSiC MOSFET 기술이 모빌리티 기술 기업이자 세계 최대 자동차 공급업체 중 하나인 마그나(Magna)의 e드라이브 시스템에 통합돼 전기차 주행거리 및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3.07.19by 배종인 기자
온세미는 보그워너(BorgWarner)와의 실리콘 카바이드(SiC)에 대한 전략적 협력 관계를 확대해 10억 달러 이상의 장기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23.05.30by 권신혁 기자
자동차 산업을 위시한 에너지 분야에서 실리콘 카바이드 반도체의 성장잠재력이 점차 가시적 성과로 반영되고 있다. 온세미 발표에서 SiC 램프의 이익 목표가 2027년까지 53%에 이를 것으로 전망해 SiC에 집중한 성장 전략이 대두되고 있다.
2023.05.19by 권신혁 기자
실리콘 카바이드(SiC)는 △전기차(EV) △전기차 충전 △에너지 인프라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며 세계 경제의 탈탄소화에 기여한다. 미국은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SiC에 대한 학술 연구가 크게 발전했지만, 이후 그 규모가 점차 줄었다. 최근 협약을 통해 미국 내 SiC 결정 연구가 다시 활성화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2023.05.12by 배종인 기자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인 온세미가 차세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및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인 하이퍼룩수 이미지 센서 신제품을 내놨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