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24by 강정규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초저전력 RSL10 SIP 기반 저전력 블루투스 메시 네트워킹 솔루션을 새로 선보였다. 스마트 홈, 빌딩 자동화, IIoT, 원격 환경 모니터링, 자산 추적 및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RSL10 메시 플랫폼으로 엔지니어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초저전력 메시 네트워킹을 구현할 수 있다.
2020.04.22by 이수민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와이파이 6E 표준에 기반하여 6GHz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새로운 QCS-AX2 제품군을 공개했다. 새로운 제품군은 밀집된 환경이나 소외 지역의 액세스 포인트, 게이트웨이, 메시 네트워킹 솔루션과 같이 데이터 처리량이 많은 와이파이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됐다.
2020.03.27by 최인영 기자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인터넷 트래픽이 큰 폭으로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인 피크타임에는 11%에 불과한 인터넷 트래픽 증가량이 근무시간 동안에는 34%까지 늘어났다. 온세미컨덕터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등과 협력해 가정용 고성능 와이파이 솔루션을 공개했다.
2020.03.18by 최인영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GTAT와 향후 5년간 실리콘카바이드 소재 생산 및 공급을 목표로 약 5,000만 달러에 달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GTAT는 협약에 따라 고성장 시장 및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CrysTX SiC 소재를 생산해 온세미컨덕터에 공급한다.
2020.03.11by 최인영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전기자동차를 위한 온보드 충전, 태양광 발전 인버터, 무정전 서버 전원 공급장치, 서버 공급장치, EV 충전소 등 고성장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SiC MOSFET 제품군을 출시하며 WBG 디바이스 범위를 확장했다. 기존 Si보다 스위칭 속도와 신뢰성을 개선하고 솔루션 전체의 전력 밀도를 높였다.
2020.03.10by 최인영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PoE 및 초저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연결을 비롯한 AC/DC 및 DC/DC 전력 변환 설계를 바탕으로 한 커넥티드 라이팅 플랫폼 RSL10 SIP를 공개했다. 고효율 모듈식 플랫폼으로 최대 90W의 출력 전력과 최대 16개의 LED를 공급·제어할 수 있는 두 개의 독립채널을 제공한다.
2020.02.27by 이수민 기자
USB-C PD의 채택이 늘어나는 가운데 온세미컨덕터가 PD 3.0 표준을 준수하는 부품 2종을 공개했다. 적응형 충전 컨트롤러 FAN6390은 USB-C PD 3.0 프로그래머블 전원공급장치 표준을 시스템에 통합하며, 멀티 모드 플라이백 컨트롤러 NCP12601은 어댑터와 같은 오프라인 전원공급장치를 시스템에 통합한다. 2종의 부품은 USB-C PD 3.0 기반 전원공급 설계를 단순화하며, 고전력밀도의 애플리케이션 설계를 지원한다.
2020.02.05by 최인영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고급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LED 드라이버 및 컨트롤러 제품군을 출시했다. 저전력 솔리드 스테이트 조명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2개의 LED 드라이버 NCV7683 및 NCV7685와 2개의 전류 컨트롤러 NCV7691 및 NCV 7692를 포함해 총 4개의 디바이스로 구성됐다.
2019.12.19by 최인영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스마트 홈, 커넥티드 빌딩, 개인용 IoT 구현에 필요한 기술을 CES 2020을 통해 선보인다. 휴대용 사운드 솔루션을 위한 핵심 기능과 VUI를 지원하는 LC823455를 사용해 IoT 에지 노드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에 요구되는 클라우드 기반 데모 두 가지를 시연한다. 터치 센서 기반 볼륨 컨트롤 및 음성명령 등 고급 오디오 기능을 공개한다.
2019.12.20by 최인영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20에 참가해 최신 라이다 기술을 적용한 차량용 솔루션을 선보인다. 장·중·단거리 라이다 애플리케이션으로 설계돼 높은 해상도와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는 SPAD 제품군을 업계 최초로 공개하는 한편 자동차용 이미징 기술, 차량 내부 모니터링 솔루션 등을 시연한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