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권신혁의 혁신포커스] [NextRise 2024 탐방기]韓 팹리스, 혁신 기술로 잠재력 유망

국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육성 기조는 2019년부터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 1%대의 세계 시장 점유율에 불과한 한국 팹리스 산업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2030 반도체 비전 및 글로벌 스타팹리스 육성 사업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지원해 왔다. 육성 기조와 산..

2024.06.14by 권신혁 기자

image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2024 전세계 리튬 생산량 135만톤…18만톤 공급과잉

2024년 글로벌 리튬 자원 생산량은 전년 대비 28% 증가한 135만톤으로 전망되며, 전세계적인 감산 추세 등의 영향으로 공급 과잉양이 18만톤으로 연초 예상보다는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는 전문가의 분석이 제기됐다.

2024.06.05by 성유창 기자

image

[연재기획-사용후 배터리 산업⑥]사용후 배터리 산업이 가져올 지속 가능한 미래…“친환경·경제성 고려한 종합적 정책 지원도 따라야”

마지막 기사에서는 사용후 배터리 산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되짚어보고, 사용후 배터리 산업을 통해 진정한 순환경제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한 개선점과 정책 지원에 대해 알아본다.

2024.05.29by 성유창 기자

image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연재기획-사용후 배터리 산업⑤]LFP 배터리 재활용 必…금전적 가치만 고려해선 안 된다

LFP 배터리의 지속 가능한 재활용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리튬, 인, 흑연 등 중요 원자재의 안전한 공급을 보장할 수 있기에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2024.05.22by 성유창 기자

image

[권신혁의 혁신포커스] Arm 기반 윈도우 출격 대기...퀄컴 스냅 드래곤 대안되나

AI PC와 온디바이스 AI를 중심으로 첨단 소비자향 제품시장이 재편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Arm 기반 윈도우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 PC 로드맵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가운데 PC시장에서 x86 CPU 생태계에 퀄컴을 중심으로 ..

2024.05.20by 권신혁 기자

image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연재기획-사용후 배터리 산업④]배터리 재활용·테스트 장비 기업, 자원 선순환의 첫 번째 고리

지난 기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용후 배터리 산업 관련 기업인 △포스코 △에코프로와 배터리 테스트 장비 관련 기업 △하나기술 △원익피앤이에 대해 알아본다.

2024.05.15by 성유창 기자

image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연재기획-사용후 배터리 산업③]사용후 배터리 산업 플레이어, 해외 진출·사업 확장 적극 나서

사용후 배터리 산업의 성장에 따라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도 이차전지 재활용, 재제조, 재사용 등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와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으로의 해외진출과 더불어 원료 확보를 위한 기업 인수 등 사업 확장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2024.05.08by 성유창 기자

image

[권신혁의 혁신포커스] ‘오늘의 동료, 내일의 적’, 엔비디아는 ‘플랫폼화’ vs 빅테크는 ‘AI칩 자급’

인공지능(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산업과 시장 지형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AI와 융합된 각계분야에 패러다임 전환과 지형변화가 예고되면서 빅테크와 반도체 업계를 중심으로 AI 산업이 빠르게 구축되고 있다.

2024.05.08by 권신혁 기자

image

[권신혁의 혁신포커스] AI 인프라發 고용량 메모리 채택↑, “하반기 공급 타이트”

기업들이 생성형 AI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 론칭을 앞다투고 있는 만큼 AI 서버 인프라 구축 경쟁이 불타고 있다. 시장 선점을 위해 선제적 투자가 가시화되고 있어 관련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반도체 확보가 핵심 역량이 될 전망이다.

2024.04.30by 권신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