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미리 보는 CES 2024, 모빌리티 핵심 키워드는 AI와 SDV

CES 2023 모빌리티 부문의 키워드가 디스플레이였다면, 다가오는 CES 모빌리티 키워드는 AI와 SDV가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번 기사에서는 모빌리티 대표 기업들의 CES 2024 전시에 대해 알아본다.

2023.12.28by 성유창 기자

image

[권신혁의 혁신포커스] EMI/EMC(2)-대전력화 제품, 능동 EMI 필터서 해법 찾는다

제품 개발에서 소형화와 대전력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필연적으로 EMI·EMC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수동 EMI 필터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능동 EMI 필터(AEF, Active EMI Filter)를 연구·개발해 시장에 진출하려는 움직임들이 포착되고 있다.

2023.12.14by 권신혁 기자

image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ISSCC, “中 반도체 굴기에도 韓 고무적 성과…실무 인재 양성 必”

반도체 설계 올림픽이라 불리는 세계적 규모의 학회 ‘ISSCC(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국제 고체회로 학회)’는 23일 판교 경기스타트업캠퍼스에서 컨퍼런스를 열고 ISSCC 2024 논문채택 현황 및 기술 분과..

2023.11.24by 김예지 기자

image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데이터센터, ‘RE100 이행’ 핵심 경쟁력 될 것”

초연결 시대 필수 설비인 데이터센터는 365일 무중단으로 IT 장비를 운영·관리하는 시설로, 최근 자율주행차 등 신규 서비스의 보편화로 수요가 급증했다. 데이터센터가 탄소 배출의 주범으로 꼽히면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송 사무국장은 “탄..

2023.11.21by 김예지 기자

image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車 배터리 저가화②-떠오르는 LFP 양극재, 시장 점령 가능성은 갸우뚱

내연기관차와의 가격 경쟁력에서 큰 약점이 있는 전기차의 문제를 타파하기 위한 대안으로 전기차 저가화가 추진되면서 이에 맞는 배터리 양극재 업체들의 방향성도 주목된다.

2023.11.20by 성유창 기자

image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車 배터리 저가화①-LFP 배터리 개발 확대…주행거리 타협 통한 저가화 추진

전기차의 보급형 차량이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NCM 배터리를 위주로 제작하던 우리나라 배터리 기업들도 상대적으로 저가인 LFP 배터리 공급을 서두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3.11.20by 성유창 기자

image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SDN, 네트워크 유연성·효율성 혁신”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 기술에 접목되며 효율적으로 망을 관리하기 위한 역할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란 네트워크 제어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네트워킹 기술이다. 기존에는 하드웨어 기반..

2023.11.09by 김예지 기자

image

[권신혁의 혁신포커스] 엣지 AI(8)-AI 반도체, 특성화·SW풀스택 必…“범용성 안 돼”

국내 엣지 AI 반도체가 성공하기 위해선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성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 SW 풀스택과 관련 생태계 지원 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며 성장 방향성에 대한 인사이트가 공유됐다.

2023.11.03by 권신혁 기자

image

[KES 2023]ADI, 첨단 애플리케이션 부품 공급 능력 과시

아나로그디바이스(ADI, Analog Devices)가 한국전자전(KES 2023)을 통해 오토모티브, 산업, 가정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최신 제품을 소개하며, 주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차별화를 보여주는 기술력을 과시했다.

2023.10.26by 배종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