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Sep 25
image

[기자수첩] KT 황창규 회장이 주머니에서 단말기 두 개를 꺼낸 이유는?

황 회장은 ICT를 기반으로 산업과 생활에서 벌어질 혁명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차별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능형 기가 인프라(Intelligent GiGA Infra)’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지능형 기가 인프라는 최첨단 관제,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과 결합해..

2015.09.25by 신윤오 기자

image

당신의 자동차, 누군가가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

지속적인 무선 접속이 가능한 커넥티드카는 자동차의 혁명을 몰고 왔다. 자량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차량정비 대신 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연결성이 도리어 발목을 잡고 말았다. 자동차에 대한 외부 접근이 실현됨에 따라..

2015.09.22by 편집부

image

엔지니어의 설계 고민, 어떤 파워소자로 해결할까

인덕터 통합형 파워모듈로 주변소자 통합, 두 마리 토끼 잡아

2015.09.22by 편집부

image

스마트 기기를 더 ‘Smart’하게 만드는 센서의 마술

IoT 시대의 센싱 기술은 전통적인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센서 등에서부터 원격 감지, SAR, 레디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 센서를 포함하여 기존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

2015.09.21by 신윤오 기자

image

삼성 스마트 가전에 가장 필요한 것은 스타급 디자이너일까

최근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스마트워치의 경우, 이 기기의 디자인 컨셉이 시계 중심이어야 하는지 아니면 스마트 디바이스 차원에서 제작되어야 하는지 모호한 경계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기기의 디자인은 각 기업들이 스마트워치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할 ..

2015.09.18by 신윤오 기자

image

LG전자, 소형 프로젝터 시장에서 주도권 더욱 강화하나

미니빔 신제품은 프로젝터와 스크린 간의 최소 거리가 일반 프로젝터의 1/10 수준인 약 38cm만 확보되면 100인치(254cm)의 대형 화면을 만들 수 있다. 제품과 화면 간의 거리가 짧으므로 빛이 지나가는 경로가 방해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어 거실, 안방 등 어느 곳..

2015.09.15by 신윤오 기자

image

삼성전자, 올해 커브드 모니터 판매 3만대 돌파

삼성전자 커브드 모니터는 화면 중앙과 가장자리 간의 시청거리 변화가 적어 눈의 피로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며, 삼성전자는 독일 TUV라인란드로부터 눈에 편안한 화질 성능을 검증 받았다. 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화면 깜빡임을 없애주는 ‘플리커 프리(Flicker ..

2015.09.15by 신윤오 기자

image

울트라북, 맥북에어와 같은 얇은 두께의 스마트기기에 무선 랜포트가 필요하다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와이파이를 연결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와이파이는 신호가 약하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노벨뷰에서 기가 랜카드와 USB3.0 확장 포트를 하나로 합친 NBN337을 선보였다.

2015.09.15by 편집부

image

지그비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지원하는 IoT 액세스포인트

사물인터넷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기술은 현재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새로운 IoT 액세스포인트는 해당 기술을 모두 지원한다.

2015.09.15by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