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12인치 웨이퍼 기반 소부장 테스트베드, 성과 나오나

과기정통부 최기영 장관이 나노종합기술원에 구축되는 12인치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지원 테스트베드 현장을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테스트베드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나노종기원의 12인치 웨이퍼 기반 반도체 테스트베드 구축에는 2019년부터 2022..

2020.08.13by 이수민 기자

image

5G 아직 자리 못 잡았는데 6G 상용화를 추진하는 이유

5G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특성이 상용화 1년이 훌쩍 넘은 지금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6G는 5G를 보완하는 초성능, 초대역, 초정밀, 초공간, 초지능, 초신뢰 특성의 차세대 이동통신이다. 과기정통부가 6G R&D..

2020.08.11by 이수민 기자

image

STM32MP1 완전 정복 퀘스트 챌린지 수상자 인터뷰 [3/3] "새로운 걸 배우고 공유할 수 있던 시간"

자신만의 애플리케이션을 STM32MP1 MPU가 탑재된 개발 보드로 개발하는 'STM32MP1 완전 정복 퀘스트 챌린지' 대회가 성황리에 끝이 났다. 최종 순위에 이름을 올린 김정수, 배상구 엔지니어에게 대회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것들에 관해 물었다.

2020.08.10by 이수민 기자

image

"코로나19, 위기에서 기회됐다" 이통 3사, 올해 2분기 호실적

이통 3사의 2020년 2분기 실적이 모두 발표됐다. 3사 모두 호성적을 거뒀는데,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바꾼 것이 주요했다. 대면 마케팅 기회가 줄면서 관련 비용을 보존했고, 비대면 서비스 수요 증가에 따라 해당 분야를 강화하며 실적을 올렸다. K-IFRS 연결 ..

2020.08.10by 이수민 기자

image

6G 이동통신 기술선점에 5년간 R&D 자금 2천억 투입

6G 이동통신 기술 R&D 추진전략이 발표됐다. 6G 상용화가 10년 뒤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는 차세대 기술선점, 표준 및 특허 확보, 연구 및 산업 기반조성 등 3개 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2단계로 진행되는 이번 전략은 2025년까지는 기술개발에, 2..

2020.08.07by 이수민 기자

image

5G 상용화 이후 첫 품질평가 결과 발표 "아직도 LTE 없으면 홀로 설 수 없어"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020년도 상반기 5G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5G가 LTE보다는 빠르긴 했으나 도입 전에 알려졌던 이론적인 수치에 도달하기 위해선 인프라와 기술에 대한 투자가 더 진행되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08.05by 이수민 기자

image

[인터뷰] "전기/전자 시스템 설계, 통합된 툴로 가속화"

지멘스가 전기/전자(E/E) 시스템 개발 기능을 강화한 캐피탈 소프트웨어를 발표했다. 마틴 오브라이언 지멘스 수석 부사장에게 캐피탈에 E/E 시스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네트워크 및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기능이 추가된 이유와 의의에 대해 물었다.

2020.08.04by 이수민 기자

image

재생에너지, 안정적인 전력수급 자원이 될 수 있을까

산업부가 태양광 연계 ESS를 전력수급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달 4일부터 내달 12일까지 태양광 연계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수급 활용 시범운영을 시행한다. 이번 시범운영은 태양광 연계 ESS의 충·방전시간 조정을 통한 전력수급 활용 가능성과 화재 안전..

2020.08.04by 이수민 기자

image

STM32MP1 완전 정복 퀘스트 챌린지 수상자 인터뷰 [2/3] "보드 사양 뛰어넘으려는 시도 돋보였다"

STM32MP1 보드가 탑재된 개발 보드를 활용하여 독자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STM32MP1 완전 정복 퀘스트 챌린지' 대회가 막을 내렸다. 최종 순위에 이름을 올린 두 엔지니어, '칩헤드'와 '메이슨'에게 대회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것들에 관해 물었다.

2020.08.03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