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로 검색하여 1234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SKT, 6G 대비 400Gbps급 유선망 도입

SKT가 10일 국내 최초로 자사의 5G 백본에 400Gbps급 유선망을 상용 도입한다고 밝혔다.

2023.10.10by 김예지 기자

이통3사, 피싱·스미싱 예방 ‘브랜드 등록 지원센터’ 운영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 KT(대표이사 김영섭), LG유플러스(대표이사 황현식) 이동통신3사(이통3사)는 추석 명절부터 연말연시까지 증가하는 스팸, 피싱, 스미싱 메시지로 인한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업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브랜드 등록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2023.09.27by 배종인 기자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SKT, “2028년 AI 매출 25조 글로벌 AI 컴퍼니 도약”

SKT 유영상 사장은 "AI 골드러시는 시작됐고, 통신사에게 AI는 중요한 기회"임을 강조하며, "SKT는 AI 기술, 서비스, 고객을 통합하는 '자강'과 AI 얼라이언스의 '협력'을 묶는 'AI 피라미드 전략'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SKT의 'AI 피라미드 전략'은 AI 인프라, AIX(비즈니스), AI 서비스 3대 축을 말한다.

2023.09.26by 김예지 기자

SKT-조비, 내년 UAM 실증사업 1단계 돌입

SKT는 조비와 지난 20일 SK T타워에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 및 상용화를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2023.09.25by 김예지 기자

SKT, 양자 생태계 확산…”양자 인재 양성한다”

SKT는 양자 사피엔스 인재 양성센터와 양자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및 교류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2023.09.22by 김예지 기자

SKT-철도연, 철도통신 ‘이음 5G-R’ 개발 착수

SKT와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차세대 철도통신 이음 5G-R 통신 시험망 구축 및 실증 사업을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2023.09.21by 김예지 기자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SKT-SKB-넷플릭스 망사용료 분쟁 종결...파트너십 맺는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와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는 18일 서울 종로구 넷플릭스 코리아 오피스에서 고객 편익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3.09.18by 김예지 기자

KT "인프라 아닌 디지털 서비스 제공 집중"

KT 김영섭 대표가 고객을 위한 디지털 서비스 개발에 적극 투자하며, 미래 디지털 사회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겠다고 주장했다. M360은 GSMA가 매년 개최하는 유럽,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등 대륙별 모바일 산업 현안에 대한 아젠다를 논의하는 글로벌 행사다. 이번 행사는 1천명 이상 관계자가 참여해 최신 모바일 기술 및 동향을 공유한다. 과기부, KT, ..

2023.09.07by 김예지 기자

SKT, 6G 청사진 제시

SKT가 글로벌 차세대 통신 표준 협의체인 아이온(IOWN, Innovative Optical & Wireless Network) 글로벌 포럼에서 6G 미래 네트워크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2023.09.06by 김예지 기자

SKT, UAM용 상공망 품질 측정 솔루션 개발

SKT가 지난 31일 UAM용 상공망의 통신 품질 실·예측 및 분석을 위한 통합 솔루션과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2023.09.01by 김예지 기자

김영섭 KT 신임 대표, “고객가치·본질적 역량·실질적 성과·상호 존중의 화합” 강조

김영섭 KT 신임 대표이사가 취임 일성으로 고객가치, 본질적 역량, 실질적 성과, 상호 존중의 화합을 강조했다.

2023.08.31by 배종인 기자

KT·인천공항, 5G 특화망 스마트 공항 맞손

KT와 인천공항이 5G 특화망 및 첨단 정보기술(IT)에 기반을 둔 스마트공항 서비스를 발굴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3.08.31by 배종인 기자

SKT, ‘양자보안통신’ 국제 표준 개발 추진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이 보안이 강한 QKD와 확장성이 뛰어난 PQC의 장점을 활용한 차세대 양자 보안 표준 개발에 나서며, 양자암호통신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2023.08.29by 배종인 기자

SKT, ‘멀티 LLM' 기반 기업·공공 생성형 AI 시장 공략

SKT가 기업·공공용 ‘생성형 AI 시장’ 공략을 위한 ‘멀티 LLM(Large Language Model)’ 전략을 23일 발표했다. SKT는 기업 및 공공기관 등의 요구에 맞춰 △에이닷 LLM △엔트로픽의 LLM △코난 LLM 등을 조합해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 및 사업적 준비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2023.08.23by 김예지 기자

SKT, 韓 AI컨택센터 ‘페르소나AI’ 3대 주주 된다

SKT가 AICC 개발사 페르소나AI에 주요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해 3대주주에 올라섰다.

2023.08.21by 김예지 기자

SKT, 5G IoT 저전력 기술 RedCap 개발

SKT가 국내 첫 5G IoT 기술인 RedCap(Reduced capability) 개발 및 상용 시범망 검증을 완료했다.

2023.08.17by 김예지 기자

SKT-오픈AI, 해커톤 개최...'미래 AI 인재 발굴한다'

SKT가 미국 오픈AI(OpenAI)와 손잡고 9월 중 서울에서 AI 해커톤 대회 ‘프롬프터 데이 서울 2023(Prompter Day Seoul 2023)’을 개최한다.

2023.08.16by 김예지 기자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SKT, “6G 후보로 기존 주파수 대역 재활용”

SKT는 지난 10일 ‘6G 백서’를 발간해 6G 표준화를 위한 핵심 요구사항과 미래 네트워크 진화 방향성을 제시했다. SKT는 6G 신규 후보 주파수로 4-10GHz 대역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나라는 28-30년을 목표로 26년 Pre-6G 시스템 기술을 시연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023.08.14by 김예지 기자

SKT-美 앤트로픽 AI 사업 1억불 투자

SK텔레콤은 미국 생성형 AI 기업 앤트로픽에 1억 달러(한화 약 1300억원)를 투자하고, AI 사업 협력 강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023.08.14by 김예지 기자

SKT, 국내 첫 6G 방향성 백서 발간

SKT는 6G 표준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요구사항과 미래 네트워크 진화 방향성을 제시하는 ‘6G 백서’를 10일 SKT 뉴스룸을 통해 공개했다.

2023.08.10by 김예지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