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DABO0722
st 0710

전체기사 2,711건

  • 리테일, 여행 및 호텔 업계, "웹 공격에 가장 취약해"

    리테일, 여행, 호텔 업계가 인터넷 공격을 가장 많이 받는 업종으로 나타났다. 아카마이에 따르면, 2018년 7월부터 2020년 6월 사이 리테일, 여행, 호텔 업계를 대상으로 약 630억 건의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이 발생했으며, 같은 기간 약 43억 건의 웹 공격도 ..

    2020.10.29by 김동우 기자

  • LG유플러스, 국책기관 손잡고 5G 네트워크 보안 강화

    LG유플러스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5G 장비 공급망을 포함한 엣지 컴퓨팅 보안 및 차세대 이동통신?융합서비스 기술에 대한 상호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하현회 부회장을 비롯 LG유플러스 주요 경영진과 김명준 ETRI 원장이 참석해 5G 통신..

    2020.10.29by 김동우 기자

  • ETRI, 밀리미터파 대역 5G 스몰셀 SW 국산화 성공

    ETRI가 5G 통신 음영지역이나 인구 밀집 지역 등에서 전송용량과 체감 통신 속도를 향상하는 28GHz 대역 지원 5G 스몰셀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이 외산 소프트웨어가 아닌 국산 소프트웨어를 5G 스몰셀 통신장비에 적용하여 상용화할 길..

    2020.10.28by 이수민 기자

  • U+, 로보월드에서 5G 무인지게차와 물류로봇 선보인다

    LG유플러스는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일산 킨텍에서 개최되는 ‘2020 로보월드’ 전시회에 참가해 물류로봇과 무인지게차를 선보인다. 글로벌 지게차 전문 업체 클라크, 물류 자동화 업체 케이엔, AI기반 물류 솔루션 업체 무샤이니 등 주요 파트너사와 5G 통신 기반..

    2020.10.28by 김동우 기자

  • 센서의 미래, 지능형 센서 "스마트 IT 융합 서비스의 핵심 부품"

    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지며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의 수요가 늘고 있다. 하지만 센서가 많아지면 광대역 통신이 필요해 AP의 전력 소모를 늘리는 단점이 있다. 반면 지능형 센서는 중앙처리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동일 성능의 프로세서로도 가용센서 수와 종류..

    2020.10.27by 이수민 기자

  • [인터뷰] "고기능 소형 전장품 설계, SBC 활용이 방안"

    최근 차량에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수많은 전자부품이 탑재된다.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제조사는 자사의 제품이 자동차 안이라는 전력과 공간이 한정적인 곳에서 타 제품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받지 않으면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시스템 기반 칩(SBC)은 전원..

    2020.10.27by 이수민 기자

  • 로데슈바르즈, AESA 레이더 TRM 검증 솔루션 선봬

    AESA 레이더는 전 세계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에서 활용되는 기술이다. AESA 레이더 시스템의 성능은 안테나 어레이에 조립된 TRM의 성능에 의해 좌우된다. 이에 로데슈바르즈는 AESA 레이더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TRM 성능 검증 솔루션을 공개했다.

    2020.10.27by 이수민 기자

  • 슈퍼마이크로, NEBS LV.3 인증 '슈퍼서버' 추가

    슈퍼마이크로는 27일, 자사의 NEBS 레벨 3 인증 서버 포트폴리오에 2U 울트라-E 쇼트 뎁스를 새로 추가했다고 밝혔다. 슈퍼마이크로의 울트라 제품군은 혁신적인 공간 절약형 울트라 라이저 카드를 포함한다. 또한 고객에게 광범위한 네트워킹 및 확장 가능성을 지녀 al..

    2020.10.27by 김동우 기자

  • 산업 장비 에너지 효율 높이려면? CbM 기술 도입해야

    해수 담수화 기술은 많은 에너지를 요구한다. 막대한 시간, 돈, 자원도 필요하다. ADI의 오토센스 플랫폼은 해당 기술의 효율 향상을 이룰 기회를 제공한다. 오토센스는 장비들의 건전성을 연속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CbM 기술로서, 장비 상태에 관한 ..

    2020.10.26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