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Microchip 0724
st 0710

전체기사 2,711건

  • 마우저, ADI·TE와 산업용 통신 솔루션 공급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ADI, TE와 함께 산업용 통신 솔루션 공급에 나선다.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실시간 성능과 견고함을 충족하기 위해 제조공장은 이더넷을 통해 운영된다. 기존 필드버시 대비 처리 속도을 높이고 대용량 데이터의 관리, 공장 장비 모니터링의 ..

    2020.02.27by 최인영 기자

  • 2019년 대한민국 IoT 매출액, 사상 첫 10조 돌파

    2019년 IoT 매출액이 처음으로 10조 원을 넘어섰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한 해 국내 IoT 산업 현황을 담은 2019년도 사물인터넷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IoT 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내수가 9조7,340억 원으로 89.0%의..

    2020.02.26by 이수민 기자

  • ADI-마벨, 고집적 5G 무선 솔루션 개발 기술 제휴

    ADI와 마벨이 5G 기지국용 차세대 RU 솔루션 개발을 위해 협력 제휴를 맺었다. 제휴에 따라 양사는 RF 트랜시버를 결합한 완전통합 5G DFE ASIC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무선접속망 기능 분할 세트와 아키텍처용으로 최적화한 베이스밴드와 RF 기술을 ..

    2020.02.26by 이수민 기자

  • 개발자 지원 사이트 '윈드리버 랩' 에지 혁신 가속한다

    윈드리버가 개발자 중심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지원 사이트인 '윈드리버 랩(Wind River Labs)'을 개설했다. 윈드리버는 이 사이트를 통해 RTOS VxWorks SDK를 개발자 커뮤니티에 무료로 제공한다. 로봇운영체제 ROS2와 같은 최신 프로젝트는 물론..

    2020.02.26by 이수민 기자

  • 유블럭스, 차량용 고속 연결 지원하는 멀티 무선 모듈 출시

    유블럭스가 와이파이6로 알려진 최신 IEEE 802.11ax 표준을 지원하는 멀티무선 모듈 JODY W3 시리즈를 공개했다. UHD 영상 인포테인먼트 스트리밍과 화면 미러링을 비롯한 무선 백업 카메라와 클라우드의 연결, 차량용 시스템의 유지·관리·진단에 이르는 사례들을..

    2020.02.25by 최인영 기자

  • ​키사이트-삼성전자, 5G DSS 기술 검증 협력 강화

    키사이트가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와 5G 모뎀에 사용되는 동적 스펙트럼 공유(DSS) 기술 검증을 위한 협력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DSS는 트래픽 수요에 따라 LTE와 5G NR 범위 간 동적 전환을 통해 저·중·고 주파수 대역에서 기존 스펙트럼 할당을 유연하..

    2020.02.25by 이수민 기자

  • ​LG U+, 5G 원격제어 기술 보유 벤처에 지분 투자

    LG유플러스는 쿠오핀과 5G 원격제어 핵심 기술인 초저지연 영상 전송 솔루션 상용화를 위한 지분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쿠오핀이 보유한 초저지연 영상 전송 기술은 원격지에서 전송한 영상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기기를 제어하는 5G 원격제어 서비스에 필수적인 솔루션..

    2020.02.25by 이수민 기자

  • 인텔, 5G 네트워크 구축 가속하는 포트폴리오 소개

    2024년까지 5G 기지국은 6백만 개에 달할 것이고, 그 영향으로 코어 네트워크의 80% 이상이 가상화 될 전망이다. 이에 인텔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코어부터 에지까지 5G로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5G 네트워크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발표했다.

    2020.02.25by 이수민 기자

  • 삼성전자, 美 5위 이통사 US 셀룰러에 5G 장비 공급

    삼성전자가 미국의 이동통신 사업자인 US 셀룰러와 5G·4G 이동통신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US 셀룰러가 삼성전자의 이동통신 장비를 공급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전자는 미국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4개 통신사업자와 5..

    2020.02.24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