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Infineon 0617
Dabo_Webinar

전체기사 1,821건

  • AI 팩토리 컨퍼런스 2019, 제조업에 부는 ​AI 바람 조명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AI 기반 산업지능화 방안을 주제로 한 'AI Factory 컨퍼런스 2019’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KOSMIA 김태환 협회장은 개회사에서 “스마트팩토리를 온전히 구현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2019.10.02by 이수민 기자

  • 인피니언, AURIX 차량용 MCU에 시놉시스 IP 기반 AI 가속기 'PPU' 통합하기로

    AI와 신경망은 물체 분류, 목표물 추적, 경로 계획 같은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필수 구성 요소다. 또 다양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최적화하여 ECU 시스템 비용은 낮추면서 성능은 높이고 개발 시간을 단축한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차세대 차량용 MCU로 AI..

    2019.09.24by 최인영 기자

  • ETRI, 딥 러닝 분산 학습 최적화 고속처리 기술 개발

    딥 러닝에는 컴퓨팅 리소스가 많이 소모되며, 따라서 학습 시간을 줄이는 분산 학습 기술이 사용된다. 그러나 분산 학습 기술도 대용량 모델을 여러 컴퓨터에서 동시에 실행하면 통신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ETRI가 딥 러닝 분산 학습에 최적화된 고속 처..

    2019.09.10by 이수민 기자

  • ​수아랩, 딥 러닝 머신비전 SW '수아킷 2.3' 출시

    수아랩이 수아킷 2.3을 출시했다. 수아킷은 딥 러닝 기반 머신 비전 불량 검사 소프트웨어로 기존의 머신 비전 검사로는 검출하지 못했던 비정형적이고 불규칙적인 불량을 딥 러닝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반도체, 태양광 등 전기전자 산업군 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

    2019.09.02by 이수민 기자

  • '자동화서 자율화로' 윈드리버, 에지 플랫폼 전략 발표

    윈드리버가 자동에서 자율로의 진화를 주제로 윈드리버 테크놀로지 포럼 2019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 윈드리버는 200여 명의 참관객에게 임베디드 시스템 보안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OS 활용 방안과 통합 에지 플랫폼의 중요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포..

    2019.08.21by 이수민 기자

  • 인간과 기계의 파트너십, 2030 기업 환경을 바꾸다

    델 테크놀로지스가 퓨처 오브 워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AI, 딥 러닝 기술과 같이 ‘인간과 기계의 파트너십’을 강화할 신기술이 바꿔 놓을 미래의 모습과 그에 따른 사회적 딜레마들을 제시하고 있다. 보고서는 AI를 필두로 인간과 기계간의 협력이 향후 모든 산업군..

    2019.08.20by 이수민 기자

  • 마이크로칩, '멤브레인 뉴로모픽 메모리 솔루션'으로 임베디드 AI 프로세싱 아키텍처 구축 지원

    AI 프로세싱이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 에지로 이동함에 따라, 배터리 전력으로 구동하는 고성능 임베디드 디바이스는 컴퓨터 비전, 음성 인식 등과 같은 AI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는 자회사인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를 통해 자사..

    2019.08.19by 최인영 기자

  • 레노버, HPC 분야 AI 리더십 강화 위해 인텔과 협력

    레노버 데이터센터 그룹이 인텔과 HPC 및 AI 융합 분야에서 다년간 협력한다. 레노버는 인텔의 HPC와 A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전체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여 이를 시장 가속화 전략의 토대로 활용할 계획이다. 2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플랫폼과 레노버 넵..

    2019.08.08by 이수민 기자

  • 이머비전의 광각 이미지 처리 역량, CEVA에 이식된다

    CEVA와 이머비전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CEVA는 이번 파트너십 체결에 따라 이머비전의 특허 받은 광각 이미지 처리 기술 및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권한을 확보하기 위해 1,000만 달러 규모의 기술 투자를 실시했다. 이머비전의 포트폴리오..

    2019.08.07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