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OS와 임베디드 개발: 부팅 프로세스와 컨텍스트 스위칭의 이해

2025-01-23 10:30~12:00

e4ds / 임종수 대표

  • 조*일2025-01-23 오전 11:20:11

    RTOS 관련 분석 및 추적 기능 등은 JATG가 아닌 SWD 에서는 활용이 가능한 기능은 어떻게 될까요? 지금 SWD 로 연결 사용 중 인데.. 이벤트 레코더 조차 사용이 안되네요.. ulink pro keil 5.36 사용중 입니다,
  • MDS22025.01.23

    EventRecorder 는 별도의 탐침코드 삽입되어야 해서 빌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ack installer > 사용중인 MCU 선택 > example project 에서 RTOS 예제 프로젝트에서 EventRecorder 예제 확인 가능합니다. 별도 문의는 "https://www.arm.co.kr/" 통해 지원 요청 주시면 됩니다.
  • 이*진2025-01-23 오전 11:18:41

    keil은 에뮬레이터 본체와 개발지원Sw 를 제품으로 판매하는 것입니까? 툴 체인이라는 것이 포괄적 의미도 될수 있어서 질문드리는 것입니다.
  • MDS12025.01.23

    Keil에서 대표적으로 두가지 제품을 판매합니다. Keil MDK(IDE, 컴파일러, RTOS 등)와 Keil ULINK 에뮬레이터(하드웨어 디버거)가 있습니다.
  • 허*현2025-01-23 오전 11:18:00

    ST마이크로의 프로토보드와 개발환경으로 시작해보려고 준비중이었는데 고민되네요. 입문자에겐 어떤 선택이 좋을까요?
  • MDS22025.01.23

    입문 레벨에서는 STM32CubeMX 에서 UI로 코드 generate > Keil MDK 에서 Arm compiler 로 빌드 하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 전*락2025-01-23 오전 11:15:11

    os awareness 기능은 mcu 디버거 제품이 있어야 가능한 기능인가요?
  • MDS22025.01.23

    네 맞습니다. 하드웨어 디버거가 필요합니다. 타깃 OS 동작 결과와 os awareness 정보를 일치시켜줘야 디버그 세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김*호2025-01-23 오전 11:11:08

    보통 stm32cubeMX 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데요. 클럭, GPIO, uart 등을 설정하면 초기화 코드를 만들어 주자나요. cubeMX 없이 keil-MDK 에서 프로젝트를 만들어도 초기화 코드를 만들어 주나요?
  • MDS22025.01.23

    keil-MDK 내부 프로젝트 생성 wizard 를 따라가면 어떤 컴포넌트(GPIO, Uart, middleware)를 선택하면 템플릿 기본 코드가 생성됩니다. Cube 에서는 UX 기반, keil-MDK 는 코드 기반 코드 generate 차이가 있습니다
  • 신*원2025-01-23 오전 11:10:32

    visual studio code에서 KEIL 컴파일러를 불러와서 사용할수가 있나요?
  • MDS22025.01.23

    MDKv6부터 VS Code 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주*홍2025-01-23 오전 11:04:46

    MDS는 ISO26262 관련 보드에 대해 HW 외주 개발도 하시나요?
  • MDS12025.01.23

    양해의 말씀을 드리자면, HW 외주 개발은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 전*락2025-01-23 오전 11:03:08

    keil로 하드웨어가 없어도 개발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는데요. 자체 소프트웨어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는 건가요? 시뮬레이션이 된다면 어느 수준까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MDS22025.01.23

    작성한 코드 빌드 및 디버깅이 가능합니다. 시뮬레이션은 peripheral 접근이 필요한 메모리 영역에서는 별도의 initialize 작성 필요합니다. 필요한 메모리 영역은 시뮬레이션 디버깅 단계에서 access 필요한 영역을 알려줍니다
  • 허*현2025-01-23 오전 10:58:48

    Keil 환경 무료 사용 조건이 아직 있나요? 컴파일 용량 얼마 이내던가..특정 코어만 가능이던가..
  • e4ds12025.01.23

    자세한 내용은 MDS에서 답변해야 하지만, 32[KB] Code 영역에 대해서 무료이고, 몇몇 MCU는 용량 제한 없이 무료입니다.
  • 전*락2025-01-23 오전 10:51:57

    stm32를 이용해서 이더넷 통신을 하기 위해 가성비로 추천하는 칩이나 방식이 있나요? 추가로 이더넷 통신을 위해서 참조하면 좋은 자료에 대해서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 e4ds12025.01.23

    사실, Vol3.에서 다룰 이더넷, USB에서는 STM32 기능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야말로 또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어느 칩에 종속되면 기술의 독립이 안되고, 무엇보다 경험적으로 전파 인증 과정에서 어렵기 때문입니다. 즉, 전용 이더넷, USB 칩 활용 방법을 다룰 것인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 카페에 문의 바랍니다. 내용이 많아서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