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8by 배종인 기자
UNIST 신소재공학과 조승호·송명훈 교수 연구팀은 태양광 전기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암모니아를 합성하고, 동시에 폐플라스틱에서 고부가가치 물질인 글리콜산을 생산하는 새로운 광전기화학 시스템을 개발했다.
2025.03.17by 배종인 기자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최철진) 에너지·환경재료연구본부 윤종원, 권정대, 김용훈 박사 연구팀이 저온에서 간단한 용액공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는 브롬화구리막(CuBr) 기반의 암모니아(NH3) 가스 센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저온에서 간단한 용액공정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형태의 암모니아 가스 센서를 만들 수 있어 향후 웨어러블 형태의 환경 모니터링 기기 및 질병 진단 센서 등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3.11.24by 배종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상진) 김영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 김민성, 김동규 교수 연구팀이 기계적 방식이 아닌 전기화학적 방식을 활용하는 친환경 냉매 압축기 개발에 성공했다.
2022.08.18by 배종인 기자
한국기계연구원이 그린 암모니아 관련 기술을 수소 에너지 운반 등 다양한 에너지 신산업의 미래 유망 아이템으로 분석했다.
2022.06.03by 성유창 기자
두산퓨얼셀이 청정수소 연료전지로의 전환을 위해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2021.09.06by 배종인 기자
반도체용 암모니아(NH3) 공급 업체들이 원료값 상승과 매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LED 생산업체들의 해외 이전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이중고를 겪고 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