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e4ds Tech Day
UNIST
UNIST
image

국내 주요 EMC 연구실 탐구...4랩 4색 특성 확연

▲기사 내용과 무관. EMC KOREA 2024에서 국내 EMC 분야를 연구하는 석학들에게 장학금 수여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   KAIST, 반도체 SI/PI 연구실적 두각 UNIST, EMIC 실물 하드웨어 강점 연세대, 수치해석 강점 국방 ..

2024.07.18by 권신혁 기자

image

초고속 양자 컴퓨터 핵심 기술 성공

▲(두 번째 줄 왼쪽부터 반시계방향으로)손창희 교수, 박미주 연구원, 김계현 연구원 등 UNIST 연구진   UNIST, 양자 스핀 액체 구현 가능성 세계 최초 확인 차세대 양자 컴퓨팅 시대를 앞당길 양사 스핀 액체 구현 가능성이 세계 ..

2024.07.18by 배종인 기자

image

빛으로 극소량의 단백질 빠르게 검출하는 바이오센서

  UNIST·한국기계연구원 공동연구팀, 극소량 단백질 검출 센서 개발 빛을 이용해 극소량의 단백질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바이오센서 기술이 개발됐다. 코로나바이러스 같은 전염병 확산을 막는 중요한 수단인 단백질 검출 효율..

2024.07.11by 배종인 기자

image

자연 모방 금속 결합 촉매, 유해 탄화수소 제거

▲(아래 왼쪽부터)이유리 연구원(제1저자), 조재흥 교수 등 연구진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UNIST 조재흥 교수팀, 온화한 조건에서도 강력한 탄화수소 산화 능력 증명 UNIST 연구팀이 유해물질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2024.07.10by 배종인 기자

image

용매 없는 두꺼운 전극 리튬 배터리 성능 향상

▲건식 전극 제조 공정   UNIST, 건식 전극 공정 상세 분석 상용화 가능성 제시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도 유해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건식 전극 공정이 나왔다. 전기차와 다양한 전자기기의 에너지 사용이 한층..

2024.06.25by 배종인 기자

image

청바지 염료 프러시안 블루 차세대 배터리 소재 급부상

▲전해질 디자인을 통해 안정적인 코팅층 형성으로 프러시안 블루의 구조 안정성 확보 및 고출력 특성 향상   전해질 장점 결합 500사이클 이상 배터리 성능 유지 UNIST 이현욱 교수팀, 프러시안 블루 양극재 활용 청바지 염료로 잘 알..

2024.06.24by 배종인 기자

image

기존 지식 유지하는 AI 기술, 자율 주행·보안 시스템 혁신

  ‘SDDGR’, AI 학습 능력 향상·경제적 효율성 제고 AI의 핵심 기술은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면서도 기존 지식을 유지하는 것이다. 사람도 새로운 것을 배우면서 기존 경험을 잊지 않듯, AI도 같은 ..

2024.06.20by 배종인 기자

image

수면 방해하는 코골이, 집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진단

▲제품 착용 모습   UNIST 변영재 교수팀, 전자기파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식약처 승인 집에서도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용훈) ..

2024.06.13by 배종인 기자

image

원자 단위 반도체, 소재별 맞춤형 공정으로 균일하게 만든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윗줄 왼쪽부터)고경민 연구원, 공동 1저자 이욱희 연구원, 조한빈 연구원, (아랫줄 왼쪽부터)서준기 교수, 제 1저자 김성연 연구원   UNIST 서준기 교수팀,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 기반 박막 증착 공정법 개발 ..

2024.05.02by 배종인 기자

image

태양에너지만으로 고효율 암모니아 생산

▲이번 연구를 주도한 (윗줄 왼쪽부터)제 1저자 아마드 타예비 연구원, 장성연, 장지욱 교수, (아랫줄 왼쪽부터)제 1저자 김지은, 제 1저자 라시미, 제 1저자 무히불라 알 무바록 연구원, 오동락 연구원   외부전압 없이 생산, 다양한 친환..

2024.04.16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