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6by 김예지 기자
40년 역사의 이동통신이 AI 시대 새로운 국면을 마주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인 통신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일률적 통신비 절감이 아닌 더 많은 고품질 서비스를 가장 낮은 비용에 제공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제시됐다.
2024.02.23by 김예지 기자
LG유플러스는 글로벌 통신장비 제조사 노키아와 함께 6G에 대비해 가상화 기지국 장비 생존성을 강화하는 6G 클라우드 기술 검증을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SKT가 NTT도코모, NTT, 노키아 벨연구소와 협력, 향후 6G 이동통신을 위한 AI 기반 기지국 무선 송수신 기술을 개발하고 개념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2024.02.13by 김예지 기자
2030년에 전 세계 6G 연결이 2억9천만건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6G 시대에 대비해 국내 산업계가 6G 주파수 발굴 및 확보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초기 6G 서비스를 가능케 하기 위해 RIS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2024.02.06by 김예지 기자
네트워크 기술·산업의 패러다임이 클라우드(가상화) 및 오픈랜(개방화) 기술 중심으로 변화하는 가운데,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 과기부가 6G·오픈랜 글로벌 인재 양성 사업을 추진한다.
2024.01.31by 김예지 기자
SKT는 30일 6G 주파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망 구조를 설계하기 위해 통신 학계와 협업해 6G 후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실측 및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2023.12.21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이용훈) 물리학과 박형렬 교수팀은 미국 테네시대학교 이준수 교수팀, 미국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 윤미나 교수팀과 함께 6G 통신용 THz 나노공진기의 최적화 기술을 개발했다.
2023.12.19by 김예지 기자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주최로 열리는 전 세계의 주파수 분배 및 전파통신분야 중요 사항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회의인 WRC-23에 지난 11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 4주간 162개국 전문가가 3,800명 참여했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개최된 행사에 우리나라도 과기부, 국방부, 국립전파연, 삼성전자 등 민관 전문가 총 49명이 참여했다.
2023.11.20by 김예지 기자
SKT는 20일 오픈랜 가상화 기지국의 소모전력과 처리 용량을 개선한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SKT는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인텔 등과 함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과 ‘AI 기반 가상화 기지국 소모전력 절감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오픈랜 가상화 기지국의 주요 기술적 난제인 소모전력 및 용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했다”고 밝혔다.
2023.11.17by 김예지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7일 국방과학연구소(ADD)와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위성통신 기술분야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