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로 검색하여 541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2025.04.04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원장 신희동)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공동으로 ‘oneM2M 제69차 기술총회’를 제주에서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스마트도시 운영 플랫폼인 시티버스(CitiVerse) 기반 AI·로봇 연계 기술의 표준화 기고안이 공식 승인되며, 미래 도시 서비스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입지를 확립했다.
2025.03.31by 배종인 기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TI)가 업계 최초의 기능 절연(functionally isolated) 모듈레이터 AMC0106M05, AMC0136 및 AMC0106M25를 출시하며 최고의 해상도로 전류와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해 정밀한 모터 제어를 가능케 함으로써 로봇이 정밀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5.03.27by 권신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상업·산업용 로봇 등 IT 기기의 무선충전기 인증 기준을 기존 50W 이하에서 1kW 이하 제품으로 확대하는 제도 개선을 시행한다고 27일 발표했다.
2025.03.25by 권신혁 기자
브러시리스(BL) DC 모터, 즉 BLDC 모터는 기존 DC 모터의 최대 단점인 브러시와 정류자가 없어 마모가 적고 손실되는 에너지가 적어 유지보수와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큰 장점이 있다. 이에 최근 △드론 △로봇 △모빌리티 △산업자동화 △가전 △기계설비 등 대부분의 제품 및 설비 개발의 동향에서 BLDC 모터가 주로 채택되고 있다.
2025.03.24by 권신혁 기자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사이즈앤트렌드(Market size and trends)에 따르면 글로벌 모터 제어 IC 시장은 2030년 102억 달러(한화 약 14조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연평균 7.8%의 높은 성장률 배경에는 신흥 경제 성장국의 높은 산업 수요와 함께 산업자동화·드론 및 로봇 수요 증가·모터제어 시스템에서 인공지능(AI) 통합 등..
2025.03.24by 배종인 기자
LG이노텍(대표 문혁수)이 24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본사 대강당에서 열린 ‘제49기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올해 주요 사업 계획과 신사업 구상을 발표했다. 문혁수 대표는 인사말에서 “올해도 어려운 경영환경이 예상되는 만큼, 고객과 함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반도체·모빌리티·로봇 부품 등..
2025.02.13by 권신혁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현지 시간 7일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서 열린 정밀의학 국제 콘퍼런스(PMWC)에서 루미너리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2025.02.04by 배종인 기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 연구팀이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진 소프트 로봇 몸체가 빠르고 강한 동작을 구현하는 ‘초탄성 토크 역전 매커니즘(Hyperelastic Torque Reversal Mechanism, HeTRM)’을 개발했다.
2025.02.03by 배종인 기자
전 세계 협동로봇 판매 1위인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의 한국 지사장인 이내형 유니버설 로봇 대표이사와 만나 협동로봇의 정확한 사용 사례와 향후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2025.01.24by 권신혁 기자
로보틱스 개발의 선두국가는 미국으로 테슬라, 보스턴다이내믹스 등 진보된 휴머노이드 로봇 시제품과 출시품들의 성능 시연이 대중들에게 놀라움을 주고 있으며, 이에 질세라 중국 기업들이 다수 엔비디아와 협업하며 로보틱스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소개한 휴머노이드 로보틱스 기업 14개사 가운데 앞선 미국과 중국 기업들을 소개했으며, 이어서 비(..
2025.01.20by 권신혁 기자
로보틱스 개발의 선두국가는 미국으로 테슬라, 보스턴다이내믹스 등 진보된 휴머노이드 로봇 시제품과 출시품들의 성능 시연이 대중들에게 놀라움을 주고 있으며, 이에 질세라 중국 기업들이 다수 엔비디아와 협업하며 로보틱스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소개한 휴머노이드 로보틱스 기업 14개사 가운데 앞선 미국편 4개 로보틱스 기업에 이어 중국 ..
2025.01.15by 권신혁 기자
엔비디아는 행정적 부담을 줄여 임상 시험 속도를 높이는 AI 에이전트를 비롯해 생물학적 기기에서 학습해 신약 개발과 디지털 병리학을 발전시키는 AI 모델, 수술·환자 모니터링·운영을 위한 물리 AI 로봇 등에 솔루션을 지원한다.
2025.01.15by 권신혁 기자
국제로봇연맹에 따르면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는 2032년 660억 달러로 약 92조원 규모의 거대 시장이 예상된다. 최근 폐막한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14개사 휴머노이드 로보틱스사를 다시금 강조하며 로봇 개발 플랫폼과 지원 솔루션을 핵심 비즈니스로 손꼽았다.
2025.01.13by 권신혁 기자
첨단 산업에서 2025년 새해도 AI는 여전히 핵심 키워드로 강조된다. 가전·IT 디바이스 제조사들은 AI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며 ‘AI 에이전트’, ‘AI 홈’, ‘개인화된 AI’ 등 AI 앞뒤로 특성화된 정체성을 표방했다. CES 2025를 통해 LG, 삼성은 AI 홈 시장 입지를 차지하고자 하는 행보를 보인 가운데 향후 관련 시장 격돌이 예상된다...
2025.01.10by 배종인 기자
웨어러블 로봇 리딩기업 위로보틱스(공동대표 이연백, 김용재)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 참가해 ‘1인 1로봇시대’에 발맞춰 웨어러블 로봇 ‘윔(We Innovate Mobility, 이하 WIM)’을 선보였다.
2024.12.24by 편집부
‘무인 운반 차량(AGV) 대 자율 주행 로봇(AMR) : 올바른 로봇을 선택하는 것’이라는 주제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의 포니마 압뜨(Poornima Apte)에게 들어봤다.
2024.12.12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박종래) 전기전자공학과 변영재 교수팀이 3차원 공간 어디에서든 충전이 가능한 전기공진 방식의 무선전력전송(ERWPT)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벽, 바닥, 공중 등 3차원 공간 안에서 어디서든 충전이 가능해 향후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스마트로봇 등 산업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2024.12.03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원장 신희동, 이하 KETI)과 한국로봇융합연구원(원장 여준구, 이하 KIRO)이 첨단 로봇 및 인공지능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국내 로봇 산업 경쟁력 강화와 기술 교류 확대에 본격 나선다.
2024.11.29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1위 협동로봇 전문 기업인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 UR)의 킴 포블슨(Kim Povlsen) 최고경영자(CEO)가 ‘2024년 유니버설 로봇 기자간담회’에서 “누구든지 어디서든 자동화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품질 좋은 로봇을 공급하도록 하겠다”며 유니버설 로봇의 지속적인 성장에 대한 인사이트를 밝혔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