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자동차
Murata 0605
ST 0529

전체기사 2,238건

  • 인피니언, 고정밀 디지털 터보 MAP 센서 출시

    매니폴드 절대압력 정보는 엔진으로 제공되는 공기-연료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서 중요한 파라미터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새로운 센시브 절대압력 센서 시리즈 제품인 KP276을 출시했다. 새로운 센서는 흡기형 또는 터보형 디젤 엔진 및 가솔린 엔진의 매니폴드 공기압 측정..

    2019.07.05by 이수민 기자

  • ADI-퍼스트 센서, 라이다 솔루션 대량 공급에 총력

    아나로그디바이스는 운송, 농업,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무인 자동차, 공중 및 수중 운송수단용 자율 센싱 제품 개발을 위해 퍼스트 센서(First Sensor AG)와 협력키로 했다. 이번 협력의 일환으로 양사는 라이다 신호 체인을 줄이는 제품을 개발한..

    2019.07.05by 이수민 기자

  • 배터리 수명과 시스템 사용시간 늘리려면? 능동 배터리 셀 밸런싱 고려해야

    수동 및 능동 셀 밸런싱을 사용해서 배터리 스택의 각 셀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건전한 배터리 충전 상태(SoC)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배터리 사이클 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과방전으로 인한 배터리 셀 손상을 방지해 추가적인 차원의 보호를 할 수 있다. 특히 ..

    2019.07.05by 이수민 기자

  • 인텔, RSS 기반 '자율주행용 안전제일 프레임워크' 공개

    일반 도로에서 높은 레벨의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데에는 설계상 안전함을 입증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 개발이 중요하다. 인텔은 자동차 및 자율주행 기술 업체 10곳과 협력해 안전한 자율주행차량의 설계, 개발, 인증 및 유효성에 대한 자율주행용 안전제일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다..

    2019.07.04by 이수민 기자

  • 마이크로칩, 차량용 터치스크린 신호 대 잡음비 개선한 '맥스터치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3종 출시

    마이크로칩이 맥스터치(maXTouch)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3종 및 최적화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최신 터치 컨트롤러 TD 제품군은 신호 대 잡음비를 향상한 새로운 차동 상호 신호 획득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두꺼운 유리 및 플라스틱 커버 렌즈를 사용했을 때..

    2019.07.03by 이수민 기자

  • 국내 최대 규모 자동차 미래 기술 행사 'Automotive Innovation Day 2019' 개최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매거진(Automotive Electronics, AE)이 매년 개최하는 제7회 AID 컨퍼런스는 500여명의 자동차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전기화, 공유의 자동차 메가트렌드 관련 최신 기술과 동향을 공유하는 행사

    2019.06.27by 명세환 기자

  • ​SKT, 상암 DMC 5G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공개

    SK텔레콤이 상암 5G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를 공개와 함께 상암 자율주행 페스티벌에서 5G·V2X 융합 자율주행 기술 시연에 나섰다. 상암 5G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는 SK텔레콤이 1월, 주관 사업자로 선정된 서울시 C-ITS 실증 사업의 핵심 인프라다. 5G 네트워크, ..

    2019.06.24by 이수민 기자

  • ​국내 연구진, 리튬이온전지보다 작고 안전한 '전고체전지' 제조기술 개발 성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폭발 및 화재 위험을 없애면서도 배터리 팩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바이폴라 구조의 전고체전지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전고체전지란, 전지 내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차세대 이차전지를 말한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는 가..

    2019.06.18by 이수민 기자

  • ​웨스턴디지털 오토모티브 스토리지, 르네사스 오토모티브 SoC와의 호환성 검증 마쳐

    오토모티브 스토리지 솔루션에는 고해상도 그래픽 및 이미지 처리, 비디오 센싱 등의 최신 기능 지원은 물론, 극한의 온습도와 강한 진동을 수반하는 환경에서도 장기간 작동할 수 있는 높은 내구성과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웨스턴디지털은 자사의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iNAND..

    2019.06.13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