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까지 단축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
시제품 제작 전에 품질 예측 3분 이내로 단축
예측 결과 3D 형태 제공, 개발자 직관적 검토
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품 설계 단계부터 품질을 예측하고 개발 기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였다.
LG전자는 AI를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까지 단축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기술은 분석 과정에서 필요한 AI 학습 시간과 메모리 사용량도 대폭 줄이는 데 성공했고, 이로 인해 제품 개발의 효율성과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기존의 방식에서는 시제품 제작 전 품질을 예측하기 위해 매번 약 3∼8시간이 소요됐으나, LG전자가 개발한 새로운 AI 기술은 이를 3분 이내로 단축시켰다.
또한 이 기술은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으로 작동하며, 기존 대비 학습 시간을 95% 이상 줄이고, 메모리 사용량은 1/10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정확도를 15% 이상 높였다.
품질 예측 결과를 실제 제품에 가까운 3D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LG전자는 이 기술의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 ‘Eng.AI(Engineering AI)’를 준비 중이다.
해당 플랫폼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3D 도면 정보를 입력하면, 추가적인 과정 없이 품질 예측 결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를 압축·경량화하는 기술을 적용해 세밀한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 기술은 LG전자의 제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냉장고와 세탁기 같은 생활가전, TV, 차량용 부품 설계 등 다양한 제품 개발에 순차적으로 적용될 계획이다.
더불어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에도 적극 활용되어 LG전자의 경쟁력을 한층 높일 것으로 보인다.
올해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외부 수주 규모는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4,000억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LG전자는 67년간 축적해 온 방대한 제조 데이터와 노하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생산 요소 기술에 AI와 DX(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를 결합해 차별화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제약, 화학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고객층을 확대하며, 오는 2030년까지 외부 매출 규모를 조 단위 이상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정대화 사장은 “스마트팩토리 사업 전 단계에서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며 “AI 기반의 검증 기술로 제품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개발 효율성도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