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준 : 어떤 측정구간에서(외부에서 스코프로 입력되는 측정 시작/정지 신호 입력구간)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최대주파수와 최저주파수를 실시간 측정헤서 스코프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기능이 있나요? 특정구간에서 신호이상 유무를 판단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스코프에는 이런 기능이 없는 것 같습니다.
keysight0 :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성분은 FFT를 이용해서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단 이때 주파수 성분은 신호에 들어있는 모든 성분이기 때문에 Gain을 확인 하시여 확인 해야 합니다.
이*용 : EMI 시험에 나타나는 노이즈 제거를 위해 필터를 사용하는데 EMI 방안은 회로적으로 적용되어있는지요
fairchild1 : 네 회로에도 구성되어 있으며 IC에 jitter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용 : 라이증 소모전력은 순간적으로 높으면 노이즈 리플도 같이 상승하는데 노이즈 제거를 위한 회로 구성이 되어 있는지요
fairchild1 : Noise 제거를 위한 구성은 external component로 구성해야합니다.
박*열 : 베어링 윤활방법 및 사용환경에 따라 마모정도가 틀린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말씀하신 마모패턴 알고리즘으로 베어링 사양을 얼마나 상세하게 선택이 가능한가요?
fluke1 : Fluke-810은 베어링타입을 입력하게 되어있지 않습니다. 마모주파수를 탐지하여 진단합니다. 볼타입인지 저널타입인지 선택할 뿐입니다.
박*우 : 진공펌프 베어링 보수중입니다. sensor bandwidth와 하모닉스를 고려했을 때 의미있는 해석이 가능한 RPM은 최대 어느정도가 될까요?
fluke1 : Fluke-810에서 설정할 수 있는 최대치는 200~20,000rpm입니다.
김*영 : LCD module I/F로 LVDS, eDP, Vx1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고속 differential signal의 SI 도 문제없이 가능하겠지요? 또한 0.65T, 8층, build-up PCB의 경우도 simulation 가능한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polliwog0 : 넵, 현재 USB3.0등 High Speed Differential Simulation도 많이들 사용하시고 계십니다.
정*호 : 기존SI tool 의 경우 초기 setup에 따라 AC/DC 결과가 많이 차이가 나는데 본 tool은 이러한 문제가 없는지요 ?
polliwog1 : 기본적으로 SI Tool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Parameter들이 있습니다. Stack Up, Material 정보, Driver/Receiver Model(IBIS, Spice, Linear Model)등이 필요한데 이 정도 정보는 있어야 가능하고, 이외에 나머지 정보는 가급적이면 자동으로 검출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김*보 : high side currnet sensing을 하는 경우 출력단이 Vcc단락이될 경우 OCP 검출은 어떻게 하죠?아니면 내부 OCP 센싱은 어떻게 하는지요?
ti0 : IC 내부 감지 기능이 있습니다.
정*엽 : 센싱용 저항으로 LED 전류를 제어한다고 하셨는데 그러다면 이 저항에 대한 방열 설계가 필요한지요? 그리고 보드 설계시 큰 면적을 차지 하지 않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ti0 : TPS92602에 대한 질문인지요. 이는 사용 전류에 따라 차이를 갖습니다.
한*욱 : 자동차 분야에서 MAX10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어떤부분으로 예상하시는지요..또한 ISO26262 대응 현황 또는 계획이 있는지요..
altera9 : Functional safety 관련된 사항은 Cyclone 및 SoC device 위주로 FSDP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MAX-1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준비될 예정입니다.
한*욱 : 자동차 분야에서 MAX10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어떤부분으로 예상하시는지요..또한 ISO26262 대응 현황 또는 계획이 있는지요..
altera9 : Functional safety 관련된 사항은 Cyclone 및 SoC device 위주로 FSDP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MAX-1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준비될 예정입니다.
신*섭 : 원격 펌웨어 업로드도 가능한것 같은데요? WIFI로 되는 있는 솔루션이 있을까요..?
e4ds : 메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
곽*진 : 강의 대로라면 참 훌륭한데요오토모티브 관련해서 사용할려면 신뢰성 인증 관련해서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은데
freescale0 : 오토모티브의 경우 오토 퀄 된 MCU가 따로 있습니다.
po***** : 암메타는 전류 프로프의 동작과 유사 한것인가요 ? 그러면 온도 특성이 어떠게 되는지요 ?
keysight0 : 전류프로브는 션트 형태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 제품의 경우에는 zero 션트로 저항값 없이 측정 가능합니다. 온도역시 저항체의 (션트)의 영향이므로 온도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서*준 : 션트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전류측정을 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인가요?
keysight0 : 전압을 0V로 출력시키고 current를 모니터링하는 형태 정도 입니다.
한*남 : STM32Cube에서 저전력 설계를 위한 Tip에 대한 설명부탁드립니다
st0 : STM32cube에서 Power consumption calculator 탭에 보시면 Vdd Power Supply 설정 및 clock source설정, 각 peripherals 의 소모전류 설정을 가능하여 저전력 설계를 위해 참고로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Ki*********** : ST일반적인 m0부분에 대한 코드를 보면 인터럽트부분이 조금 복잡한데 인터럽트 부분에 대한 소스도 따로 구현이 되어 있나요?
st5 : 인터럽트 부분에 대한 참고코드는 제공되고 있습니다. NVIC가 포함되어 있으며 armv7m의 경우 기존 ARM7/ARM9 armv4/5 세대 대비 인터럽트의 처리는 간단한 편입니다.
이*권 : 랩뷰가 아닌 C/C++로 개발한다고 했을때 설치되어야 하는 라이브러리 크기는 어느정도 될까요? 필요한것만 설치가 가능한지요?
national_instruments0 :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며,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크기가 달라집니다.
서*호 : 실제로 제품표면만 가능하기때문에 실제 내부온도와는 다를수 있는가요? 그럼 실제내부온도는 더 높을수 있나요?
fluke2 : 표면온도와 내부온도와는 별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물체를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표면 온도만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는 더 높을수도, 더 낮을수도 있습니다.
김* : 핫커서 콜드커서 자동 측정은 어느 모델에 있나요? 100시리즈만 없는건가요? 90대나 200이상부터는 기능이 있구요?
fluke2 : Ti125부터 Ti200,300,400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Ti95는 저가형 임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