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
semi
image

AI 수요 폭증 반도체 생산능력 69% 증가

  2028년까지 첨단 웨이퍼 생산 대폭 확대 생성형 AI의 빠른 확산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지형을 급속히 바꾸고 있다. AI 수요 폭증으로 웨이퍼 생산능력이 2028년 사상 최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 전자 산업 공급망을 ..

2025.07.11by 배종인 기자

image

반도체 안전표준 ‘SEMI S2’, 한글 번역본 발간…삼성·SK하이닉스 전문가 참여로 현장 적용 가속

반도체 제조 장비 설계·안전성 평가 전 분야 최신 안전 기준 적용 세계 반도체 산업의 핵심 안전 기준인 ‘SEMI S2’ 최신 한글 번역본이 공개되며, 반도체 제조 장비의 설계 및 안전성 평가 전 분야에서 최신 안전 기준을 현장에..

2025.07.03by 배종인 기자

image

2024년 반도체 장비 투자액 1,171억불 전년比 10% ↑

  AI·고성능 컴퓨팅 수요 증가·국가별 정책 변화 등 요인 2024년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AI 및 고성능 컴퓨팅 수요 증가, 국가별 투자 정책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리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

2025.05.27by 배종인 기자

image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장비 투자, 1,100억불 돌파”

  韓 2025년 215억불·2026년 270억불 예상, 글로벌 2위 글로벌 반도체 장비 투자가 2025년에 1,100억달러를 돌파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SEMI(..

2025.03.27by 배종인 기자

image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매출 115억불…전년比 7% ↓

더딘 재고 조정 출하량·매출액 모두 감소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및 매출액이 더딘 재고 조정에 모두 감소했다.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는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2...

2025.02.26by 배종인 기자

image

“韓 반도체, AI·HPC 투자 증가에 성장세 이어갈 것”

▲클락 청(Clark Tseng) SEMI 이사가 세미콘 코리아 2025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2025년 1Q 메모리 가격 개선·AI 칩 수요 증가 20% 성장 전망 韓 반도체 수출 2025년 1Q 약간 하락 예상&..

2025.02.24by 배종인 기자

image

실리콘 포토닉스, ‘빛’의 속도로 가는 AI 반도체 미래

▲빌 은(Bill En) AMD 부사장 기조연설 장면 빌 은 부사장, "포토닉스, 데이터 속도·효율 개선" 광 트랜시버, 최신 AI 데이터센터에 100만개 탑재 연간 성장률 56% 시장, 국내 플레이어 성장 기대 ..

2025.02.21by 권신혁 기자

image

송재혁 삼성전자 사장, “‘AI 반도체’ 인간 두뇌 목표로 발전”

▲송재혁 사장이 세미콘 코리아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는 모습.   반도체, AI 위한 ‘속도·전력효율’ 혁신 必 첨단 패키징 ‘칩렛’, “협업 없이 안 된다” ..

2025.02.19by 권신혁 기자

image

세미콘 코리아 2025 개막, AI가 재편할 반도체 변화·기회 조망

▲세미콘 코리아 2025 개막식에서 참석 귀빈들이 오프닝 세레머니를 하고 있다.   500社·2,301부스, 삼성·AMD·imec·시놉시스·어플라이드 기조연설 SEMI, 3,60..

2025.02.19by 배종인 기자

image

3Q 韓 반도체 장비 시장 0% 성장

  전년比 17% 증가했지만 전기比 0%는 韓 유일 2024년 3분기 우리나라의 반도체 장비 청구액이 비교 대상국 중 유일하게 전기대비 0% 성장을 기록하며 성장이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2024.12.06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