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4by 배종인 기자
클락 청(Clark Tseng) SEMI 이사가 지난 2월19일 진행된 세미콘 코리아 2025(semicon 2025)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AI와 HPC 수요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02.05by 권신혁 기자
전세계 반도체 공급기업 가운데 삼성전자가 인텔을 제치고 글로벌 매출 1위를 달성했다. 매출 1위 달성이 전망됨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 주가는 올해 51,000원까지 떨어지며 5만전자 수성도 위협받고 있어 글로벌 반도체 매출 상위권인 엔비디아·애플와 비교해 시가총액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01.23by 권신혁 기자
AI 메모리 호황에 힘입어 SK하이닉스가 대기록을 세워가고 있다. 사상 최고 매출 실적을 달성하며 HBM과 eSSD 시장에서 입지를 증명했다.
2025.01.08by 권신혁 기자
삼성전자가 8일 잠정실적이 4분기 매출 75조원, 영업이익 6조5,000억원이라고 발표했다.
2024.12.05by 권신혁 기자
SK하이닉스가 2025년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5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핵심 기능별로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C-Level(C레벨)’ 중심의 경영 체제를 도입했다.
2024.11.27by 권신혁 기자
산업기술R&D종합대전이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산업부 주최로 개최했다.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R&D’라는 주제로 글로벌 기술 경쟁에 대응할 국내 우수 R&D 성과 시상과 각종 전시 및 부대행사들이 마련됐다.
2024.11.19by 권신혁 기자
생성형 AI가 촉발한 AI 서버,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으로 인해 SK하이닉스의 HBM이 업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AI 연산에 활용되는 CPU·GPU 성능 발전을 메모리가 따라가지 못하면서 병목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차세대 메모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2024.11.18by 권신혁 기자
미국과 일본 등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표준화 활동에 선도적인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기술 선도와 종속의 갈림길에서 국내 반도체 산업의 생존을 위해 산학연이 힘을 합쳐 표준화 동향과 전망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2024.08.06by 배종인 기자
삼성전자가 백랩 공정 등 패키징 기술 최적화로 업계 최소 두께인 0.65㎜ 두께를 구현한 12나노급 LPDDR5X D램 양산을 통해 모바일 D램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2024.08.06by 권신혁 기자
청년 인구 유출과 국가 인구 감소로 지방 소멸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국내 제 2의 도시인 부산마저도 인구 유출로 청년 인구가 줄어들며 ‘노인과 바다’라는 오명을 얻은 상황 속에서 지역 산업이 지역 성장과 인구 유출 억제 및 인구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 산업이 위치한 지역에서는 인구 유입 증가와 고용창출 효과, 세수 유입 증가, 정책 지원 등의 긍정적인 요인들이 도시 성장을 촉진했다. 반도체 중심이 되고 있는 일본 규슈 사례와 한국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는 용인-화성-평택 등의 사례는 반도체-지역 성장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