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정교한 전자 장치의 설계·통합 必”

수소에너지는 깨끗하고 풍부하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전자 장치의 설계와 통합이 필수적이다.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주요 구성인 양성자 교환막(PEM) 연료전지는 셀 스택 내부에서 저전압·고전류의 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다양한 기기에 활용..

2025.07.23by 배종인 기자

image

[배종인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자율주행의 미래, 반도체 기술에 달렸다”

오늘날 자동차 산업은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첨단 기술의 집합체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기능의 확산은 자율주행 시대를 향한 본격적인 전환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반도체 기술이 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

2025.07.23by 배종인 기자

image

[배종인의 혁신포커스] “온디바이스 AI, 경량화된 AI 모델·시스템 소프트웨어 스택·AI 하드웨어 3박자 맞아야”

권진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온디바이스 AI 연구본부 연구원은 지난 16일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에서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회장 이창열, 이하 KESSIA) 주최로 개최된 ‘2025 임베디드 AI 트렌드 포럼’에서 ‘사족로봇 가이드독 사례로 살펴보는 ..

2025.07.21by 배종인 기자

image

[배종인의 혁신포커스] “韓 피지컬 AI 대규모 투자 통한 핵심 기술 자립 必”

이해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 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지난 16일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에서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회장 이창열, 이하 KESSIA) 주최로 개최된 ‘2025 임베디드 AI 트렌드 포럼’에서 ‘Physical AI 개발 동향 및 관련 정책 시..

2025.07.21by 배종인 기자

image

[2025 전력전자학술대회]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장제트 부장, “차별화된 기술력 바탕 전력전자 시장 선도”

와이드 밴드갭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전력 변환 시스템의 효율성이 혁신적으로 개선되면서, 전력 산업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 데이터센터 급증, 신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지능형 전력 관리 기술에 대..

2025.07.15by 배종인 기자

image

[배종인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전기차 판매 2025년부터 3년간 2배 이상 성장”

2025년 전기차(EV) 판매가 전년대비 25% 성장하는 등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또 한 번 도약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5.07.04by 배종인 기자

image

[배종인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자동차 산업, 소프트웨어 경쟁력으로 승부

자동차 산업이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Software Defined Vehicle)’과 지능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중심으로 격변하고 있다. 차량 제조 단계에서 고정된 ..

2025.07.03by 배종인 기자

image

온라인 전력 시뮬레이션, 설계의 판도 바꾸다

전력반도체 설계 과정에서 열 손실과 온도 관리는 가장 민감한 화두다. 과거에는 PC에 설치한 전용 해석 툴을 돌리고, 컴퓨팅 자원 확보에 애를 먹었다. 반면에 최근 온라인 전력 시뮬레이션이 등장하면서 설계 환경이 완전히 달라지고 있다.온라인 전력 시뮬레이션은 웹 브라우..

2025.06.30by 배종인 기자

image

[배종인의 혁신포커스] “ICT·AI 무장한 디지털팜, 2028년 285억불 급성장”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 김영식)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 이하 기계연)은 미래형 스마트 농업 관련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스마트 농업 선도를 위한 제안 기술을 담은 기계기술정책 제119호 ‘미래형 스마트 농업 연구동향과 시사점’을 발간하고, 국가 ..

2025.06.30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