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텍스 AI·제미나이·빅쿼리 기반 아키텍처로 탐지 정확도 95% 달성
구글 클라우드가 버텍스 AI(Vertex AI), 제미나이(Gemini) 모델, 빅쿼리(BigQuery) 등 구글 클라우드 핵심 솔루션을 기반으로 사회공학적 공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AI 네이티브 보안 아키텍처를 구현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이스트시큐리티가 자사와 협력해 AI 기반 가족 보안 플랫폼 ‘알약 패밀리케어’를 고도화했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스미싱·보이스피싱은 AI를 활용해 개인의 습관과 관심사를 장기간 학습하는 ‘롱텀형 스캠’으로 진화하고 있다. 알약 패밀리케어는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 런을 통해 데이터를 빅쿼리에 적재하고, 버텍스 AI와 제미나이 모델로 문맥·의도 기반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기존 규칙 기반 탐지보다 한 단계 진화된 위협 대응이 가능해졌으며, PoC 기준 탐지 정확도 95% 이상을 기록했다.
또한 클라우드 DLP API를 적용해 이름·계좌번호 등 민감 정보를 자동 마스킹하는 프라이버시 보호 단계를 구현했으며, 메시지 분석과 악성 앱 설치 행위를 결합한 2단 방어 구조로 피해 차단율을 높였다. 개발 과정에서는 AI 협업형 코딩 환경을 도입해 리드타임을 절반 이하로 단축하고, AI 블로그 에이전트로 콘텐츠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성과도 거뒀다.
이스트시큐리티는 알약 패밀리케어를 가족 모두를 지키는 ‘디지털 안심 에이전트’로 발전시킬 계획이며, 구글 클라우드는 최신 AI 기술을 제공해 사용자 경험 향상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예정이다.
손승우 이스트시큐리티 전략기획실장은 “구글 클라우드는 이스트시큐리티의 비즈니스 비전과 방향성을 깊이 이해하고 혁신을 함께 설계하고 있는 진정한 파트너”라고 설명하며, “앞으로도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AI 기반 지능형 보안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루스 선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이스트시큐리티와의 성공적인 협력은 클라우드와 AI 네이티브 역량이 어떻게 실질적인 보안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 보여주는 모범 사례”라며, “구글 클라우드는 세계적 수준의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와 최첨단 AI 및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를 결합해 혁신을 위한 강력한 기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이스트시큐리티가 위협 탐지를 가속화하고, 복잡한 보안 워크플로를 자동화하며, 나아가 한국 및 해외 고객에게 더 높은 수준의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