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사업 실적 호조·인도 IPO 통한 현금 유입·관계사 실적 개선 반영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LG전자의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BBB, Stable(안정적)’에서 ‘BBB, Positive(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2022년 10월 이후 약 3년 만의 변화로, 향후 LG전자의 신용등급 자체가 상향될 가능성도 열렸다는 평가다.ㅣ
S&P는 21일 발표를 통해 “LG전자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 어려운 외부 환경 속에서도 주력 사업의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유입과 관계사 LG디스플레이의 실적 개선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최근 인도 현지 법인의 IPO(기업공개)를 통해 약 1조8000억 원의 현금을 유입했다. S&P는 이 자금이 재무 유동성을 높이고, 부채비율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더해 전장(VS) 사업의 수주 잔고가 약 100조 원에 달하는 점도 안정적인 미래 수익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수주 믹스의 개선과 사업 효율화 등을 통해 수익성이 꾸준히 강화되고 있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가전 부문 역시 경기 둔화 속에서도 고효율·프리미엄 제품 중심의 전략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다. 냉난방공조 부문에서는 데이터센터용 냉각 솔루션과 친환경 시스템 수요 확대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S&P는 또한 LG전자가 36.7%의 지분을 보유한 LG디스플레이의 실적 회복세가 이어질 경우, 지분법손익을 통해 LG전자의 연결 재무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지난 2월, 또 다른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Moody’s)도 LG전자의 신용등급 전망을 ‘Baa2, Stable(안정적)’에서 ‘Baa2, Positive(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이처럼 주요 글로벌 평가기관들이 LG전자의 사업 구조와 재무 건전성에 대해 연이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으면서, 향후 1~2년 내 등급 자체가 상향 조정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S&P는 “현재 LG전자의 사업 포트폴리오와 재무 구조를 고려할 때, 재무 지표가 지속적으로 개선된다면 신용등급 자체를 상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