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코리아가 인피니언과 협력해 MCU(마이크로컨트롤러) 개발을 간소화하고 표준화된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L)을 개발하며, 복잡한 하드웨어 세부사항을 직접 다루지 않고, 표준화된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MCU 개발이 가능해져 개발자들이 개발 프로세스를 단순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벡터코리아·인피니언 협업,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개발

복잡한 하드웨어 세부사항을 직접 다루지 않고, 표준화된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MCU 개발이 가능해져 개발자들이 개발 프로세스를 단순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벡터코리아가 인피니언과 협력해 MCU(마이크로컨트롤러) 개발을 간소화하고 표준화된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L)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HAL 개발은 ‘PSOC™4 HV 컨트롤러를 위한 MICROSAR IO 협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HAL은 메모리 풋프린트가 작은 MCU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개발자는 하드웨어 레지스터나 메모리 구조 같은 복잡한 하드웨어 세부사항을 직접 다룰 필요 없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통합이 간소화되고 재사용성이 향상된다.
이번 HAL 사양은 인피니언의 자동차용 마이크로컨트롤러인 ‘PSOC™4 HV’ 드라이버에 성공적으로 구현됐으며, 벡터의 경량 베이스 레이어인 MICROSAR IO가 적용됐다.
나아가, 이 HAL 사양은 다른 반도체 제조업체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벡터의 MICROSAR IO는 전자제어장치(ECU)의 입출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확장 가능한 인터페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번들이다.
이 번들은 인피니언의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애플리케이션인 ‘드라이브 코어(Drive Core)’의 일부로 통합됐다.
이를 통해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이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인피니언의 ‘드라이브 코어’는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 번들 포트폴리오로, 솔루션 개발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마이그레이션 부담을 줄이며 공급업체 관리를 최적화한다.
인피니언은 벡터를 포함한 자동차 산업의 주요 기업들과 협력해 드라이브 코어 솔루션의 통합과 호환성을 보장하는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개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협업을 통해 벡터와 인피니언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고, 하드웨어 추상화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Vector MICROSAR IO 기술 페이지 및 인피니언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