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이사 CEO 유영상)이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구축하며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SKT는 26일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 제41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주총에서 △2024년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이사 선임 등의 안건은 원안대로 통과됐다.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 자강·협력 강화
AI 사업 고도화 통한 새로운 수익 창출
SK텔레콤(대표이사 CEO 유영상)이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구축하며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SKT는 26일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 제41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주총에서 △2024년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이사 선임 등의 안건은 원안대로 통과됐다.
SKT의 2024년 연결 재무제표는 전년대비 매출 1.9% 증가한 17조9,406억원, 영업이익 4.0% 증가한 1조8,234억원으로 승인됐다.
주당 배당금은 전년과 동일하게 연간 3,540원으로 확정됐으며, 투자자들이 배당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주주 친화적으로 정관을 변경했다.
유영상 CEO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AI 성과 창출을 극대화하는 ‘AI피라미드 2.0’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은 AI 데이터센터(DC) 사업을 △구독형 클라우드 GPU 서비스 △소규모 모듈러 AI DC △단일 고객 전용 AI DC △하이퍼스케일급 AI DC 등 네 가지 사업 모델로 세분화해 추진한다.
또한 AI B2B 영역에서는 기존 엔터프라이즈 AI와 AI 클라우드에 이어 AI B2B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를 통해 수익화를 강화할 계획이다.
AI B2C 영역에서는 국내 AI 에이전트 ‘에이닷’이 2월 말 기준 가입자 890만명을 기록하며 국내 넘버원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또한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를 미국 시장에 출시하여 글로벌 시장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SKT는 SK그룹의 AI 역량을 결집하고, 국내외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한국형 AI 생태계 구축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자체 개발한 한국어 특화 LLM ‘에이닷엑스(A.X)’는 B2B 솔루션으로 활용 범위를 확대 중이며, 상반기 중 개발될 ‘에이닷엑스 4.0’ 모델은 대화와 멀티모달 기능을 포함한 경쟁력을 더할 예정이다.
또한 SKT는 도이치텔레콤, 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와 협력하며 엔트로픽 등 글로벌 AI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K-AI 얼라이언스’를 통해 사업 및 기술 공동 개발로 협력 체계를 지속 고도화할 예정이다.
유영상 CEO는 “2025년 SK텔레콤은 AI 사업의 고도화를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주주가치와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것”이라며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