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10:30~12:00
ADI / 노일 상무
이*우2025-04-22 오전 11:05:14
buck-boost mode구간에서도 Feedback Loop 특성 측정이 되나요?ADI12025.04.22
네 가능합니다.이*혁2025-04-22 오전 11:05:11
Rsense 통해 전류 센싱을 하는데 센싱 오차가 제법 클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정밀도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ADI22025.04.22
적용하시는 저항의 tolerance에 가장 크게 dependent하며, trace또한 영향을 미칩니다.정*수2025-04-22 오전 11:04:36
Boost 중에 입력 2.5V~4.2V 에서 출력 20V~30V 전류 2A 이내인데 효율이 높은 제품이 있나요? 현재 LT3797 사용 중인데 저전압에서 효율이 낮네요.ADI12025.04.22
60W의 최종 출력을 2.5Vin으로 구성해야 한다면 입력 전류가 약 30A급이 되어야 하므로 효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김*식2025-04-22 오전 11:04:12
LT1764, LT3015등 LDO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LT1764도 전류가 많이 흐를 수 없는 부하인데 물론 출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과는 쇼트 될 수 있는데 이렇게 과전압과 쇼트되도 출력 전압이 떨어져서 쇼트가 풀리더라도 복귀가 되지 않을 수 있나요?ADI12025.04.22
short가 풀리면 재기동이 되어야 옳습니다.이*혁2025-04-22 오전 11:03:19
벅-부스트 컨버터에서 벅모드/부스트모드 기준을 설정한 이유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ADI12025.04.22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높으면 벅모드, 낮으면 부스트모드입니다.조*구2025-04-22 오전 11:03:03
다시 보기 많이 돌려보고싶은 좋은 웨비나네요~ 혹시 발표자료 공유가 가능할까요~e4ds2025.04.22
웨비나 등록페이지에 발표자료 다운로드 버튼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이*혁2025-04-22 오전 11:01:22
BURST 모드에 대해 간단히 설명 부탁드립니다.ADI32025.04.22
Burst mode는 로드가 극히 작은 상황에서 사용하는 모드로 IC에서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로직만 남기고 나머지 내부 회로는 OFF하여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출력 전압이 어느 threshold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스위칭을 하여 출력을 유지시킵니다.정*균2025-04-22 오전 11:00:41
Boost Converter에서 다이오드의 역할은 역전류 방지인가요?ADI12025.04.22
네 non sync boost에서 diode의 역할은 free wheeling이며 역전류 방지 역할을 합니다.이*혁2025-04-22 오전 11:00:17
출력 리플을 줄이려면 인덕터를 더 키워야 하는데 인덕터 크기를 키울수 있을까요?ADI12025.04.22
출력 리플을 줄이기 위해 인덕턴스를 키우는 것뿐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도 해당 방법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cap을 키우거나, feedforward cap 추가 등의 방법으로도 리플을 줄일 수 있습니다.김*식2025-04-22 오전 10:59:55
LDO LT3086, LT3091 같은 경우 부하 쇼트로 인하여 Current Limit가 걸렸을 경우 fold back current limit 방식이라 출력 전압이 뚝 떨어지는데 문제는 부하 쇼트가 풀리더라고 출력 전압이 다시 복귀하지 않는데 원래 이런 건가요?ADI12025.04.22
해당 부분은 다시 복구가 되어야 옳습니다. tim.cheong@analog.com으로 문의 부탁 드리겠습니다.[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