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ST 6상 모터 구동 시스템 웨비나

2025-04-29 10:30~12:00

STMicroelectronics / 최현우 과장

  • 이*근2025-04-29 오전 11:33:08

    실제 적용하여 성공한 사례들은 어떻게 되나요
  • ST22025.04.29

    고객사와 실제 진행되고 있는 과제들이 있으나, 진행 중인 과제로 상세 정보는 공개가 불가합니다.
  • 진*2025-04-29 오전 11:26:58

    35Page의 OSC에서 5개의 상의 Max전압이 1.286으로 모두 같아야 될것 같은데 각 상의 Max전압이 다른것으로 보입니다.
  • ST12025.04.29

    5개의 상은 공간상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상을 제외했을 때, 회전자계를 만들기 위해 각 상에 사용되는 전류의 크기는 차이가 나게 됩니다.
  • 진*2025-04-29 오전 11:22:27

    Fault Detection후에 수mm sec 안에 다시 시작하는데 RPM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RPM이 정상상태로 되기까지 어느정도나 소요되는지요?
  • ST12025.04.29

    저희 테스트에서는 수 ms안에 전류가 회복되어 정상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는 속도제어에서 속도가 안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속도 회복 속도는 속도제어기 및 어플리케이션 부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최*태2025-04-29 오전 11:21:37

    엘리베이터나 철도와 같은 고토크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실제로 이 시스템의 고장 감지 및 제어 유지 기능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요?
  • ST22025.04.29

    일반적인 사례의 경우 부품 손상등의 손상 발생시 모터는 정지하므로 사용자는 엘리베이터나 철도를 이용할 수 없으나, Fault Tolerant system의 경우 일정 수준 Fault 발생까지는 모터를 계속 구동할 수 있어 정비 시간전까지는 모터를 계속 구동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 후 정비 시간에 고장난 모듈 교체등을 통해 사용자의 불편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김*숙2025-04-29 오전 11:20:18

    모터 구동 안정성과 시스템 연속성이 중요한 시스템에서, ST의 6상 모터 구동 시스템을 도입하면 실제로 어떤 안전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요?
  • ST22025.04.29

    일정 수준의 Fault 발생까지는 내결함성을 가져갈수 있어, 정비 시간까지는 모터 구동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엘리베이터, 철도, 선박등의 시스템에 안정성 증가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 최*은2025-04-29 오전 11:15:17

    ST 6상 모터 구동 시스템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고장 상태를 어떻게 미리 예측하고, 이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유지보수 솔루션에 대해 설명부탁드립니다해
  • ST22025.04.29

    이와 관련해서는 ST의 예측 보수가능한 별도의 솔루션이 있으며, 한 예로 하기의 링크도 참조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https://www.e4ds.com/ms/news_view.asp?c=ST&ch=102&t=0&idx=20613
  • 최*빈2025-04-29 오전 11:14:13

    고장 검출 및 제외 기능이 시스템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특히 고장이 발생한 상을 제외하고 나머지 상으로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할 때의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ST22025.04.29

    관련 내용은 세미나에 이미 소개된 내용으로 다시보기를 통한 확인 부탁드립니다.
  • 강*성2025-04-29 오전 11:08:08

    Fuse는 화재로 천이는 방지하지만 세트교체를 해야하는데 능동적인 보호 방법은 없을까요?
  • ST12025.04.29

    저희 솔루션은 Fuse만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 Fuse는 빠른 고장 분리는 위한 것이고 고장이 검출이 되면 능동적으로 Relay를 컨트롤하여 한번 더 분리를 하고 있습니다.
  • 이*규2025-04-29 오전 11:07:14

    다상 모터 구동 시스템에서 고장 감지를 위한 센서리스 접근 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 ST22025.04.29

    고장감지 기능과 센서리스 제어는 구분해서 생각하시는 편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 박*근2025-04-29 오전 11:06:38

    3상 대비 igbt 용량은 반으로 설정을 하여 설계를 할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이럴 경우 정격 또는 최대 용량으로 구동 중 한 상이 고장이 나게 되면 알고리즘적으로 대책이 구현이 되어 있지 않으면 연속적인 고장에 노출되어 있지 않나요?
  • ST12025.04.29

    네, 그렇기 때문에 빠른 fault isolation과 남은 상으로 안정적인 회전자계를 만들어 줄 수 있도록 알고리즘이 꼭 적용되어야 합니다. 알고리즘이 적용되지 않은채 기존의 6상 제어 방식으로 제어하게 되면 모터 회전은 되지만 상간 불평형으로 인해 파워 소자 소손이 발생할 수 있고 큰 토크 리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