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ST 6상 모터 구동 시스템 웨비나

2025-04-29 10:30~12:00

STMicroelectronics / 최현우 과장

  • 이*혁2025-04-29 오전 10:53:08

    6상 시스템은 소용량 보다는 신뢰성이 요구되는 대용량 시스템에 필요하리라 판단되는데 몇 kW급 정도가 적절한지 문의 드립니다.
  • ST12025.04.29

    보통 다상 모터는 엘리베이터, 철도 같은 고용량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됩니다. 어플리케이션마다 다르기 때문에 특정 kW를 정의할수는 없지만 5kW 전후로 적용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 박*근2025-04-29 오전 10:51:42

    히트싱크 체적 측면에서 보면 어떤가요? 축소가 되나요?
  • ST12025.04.29

    ST의 보드는 Reference 보드로 Customize가 가능합니다. 사용하시려는 스펙에 따라 설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장*수2025-04-29 오전 10:48:07

    [질문] SC 보호 할 때, 전류 과도 상태를 turn off 구간만 해석 하였는데, 실제는 short current 를 포함 하여 시간을 설정(2us) 해야 하지 않나요?
  • ST12025.04.29

    죄송하지만 Fault 분리까지 이루어지는 시간에 대한 질문이 맞으신가요?
  • 진*2025-04-29 오전 10:47:09

    Motor의 상전류를 감시하는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 ST12025.04.29

    스위칭 주파수에 맞게 FOC가 수행되고 있고, 그때마다 전류 계산이 들어가게 되어있습니다.
  • 이*혁2025-04-29 오전 10:46:22

    쇼트, 오픈 고장을 판단하기 위해 전압,전류 측정과 더불어 추가 측정하는 요소가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 ST12025.04.29

    상전압과 상전류만 측정하시면 됩니다.
  • 이*혁2025-04-29 오전 10:43:31

    3상 대비 6상 인버터 제작시 비용 증가율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ST22025.04.29

    아시다시피 모터 자체의 단가와 하드웨어 구성가격은 사용 수량등을 베이스로 산정되므로 영업 연락하시어 정확한 견적 비교를 진행 부탁드립니다.
  • 김*수2025-04-29 오전 10:42:30

    어떤 모터 고장을 탐지할 수 있을까요?
  • ST12025.04.29

    웨비나에서 소개되는 open/short 감지 방식은 대부분의 모터에 적용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 조*영2025-04-29 오전 10:37:44

    1.ST의 6상 모터 드라이브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고, 기존 3상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그리고 6상 모터의 전류 제어 방식으로 ST에서는 주로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지요? 2. 6상 모터 구동 중 한 상(Open phase) 오류 발생 시, ST의 MCU는 어떻게 감지하고 대처하는지요? 과전류/과전압/발열 보호 기능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서 동시에 구현하는 사례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3. 6상 시스템에서 ST는 어떤 방식으로 스위칭 손실 및 EMI를 줄이도록 설계하고 있는지요? Dual 3상 인버터로 구현 시 ST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간 간섭을 어떻게 방지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ST12025.04.29

    1, 웨비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끝난 뒤에 이해 안되시는 부분에 대해서 추가 질문 부탁드립니다. 2. open phase 감지도 웨비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MCSDK는 기본적으로 OC/OV/OT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중에 OC는 Gate Driver나 IPM을 통한 HW fault protection과 Timer Break를 이용한 SW protection 둘다 지원하고 있습니다. 3. EMI는 스위칭 소자의 특성이나 Power PCB 패턴등의 영향이 지배적으로 F/W의 수정을 통한 EMI 디버깅 보다는 Gate 저항 튜닝이나, 파워 PCB 패턴 수정을 통해 줄이는것이 일반적이고 ST도 동일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죄송하지만 ST에서는 Dual 3상 인버터는 아직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상간 간섭에 대한 사례는 아직 없습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