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by 권신혁 기자
바이든 행정부에서부터 이어져온 반도체·AI 등 첨단산업 관련 수출·기술 규제가 오히려 중국 산업의 성장동력을 보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장비사의 중국향 매출 비중 증가와 미국 반도체·AI·클라우드 기업들의 규제 압박이 교차하며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시장 파편화화가 전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02.10by 권신혁 기자
전기차 수요 저하와 선제적인 화합물 반도체 공급 및 투자가 맞물리면서 SiC 밸류체인 기업들의 실적 저조가 눈에 띄고 있다. 다만 재생에너지·AI 데이터센터향 전력반도체 시장을 개척한다면 수요의 다운 사이클 없는 순환 사이클 시장이 될 수 있어 가시적인 실적 상승이 본격화되는 시점을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2025.01.20by 배종인 기자
가트너(Gartner)가 발표한 2025년 자동차 시장의 주요 트렌드에 따르면 올해 자동차 업계에서는 배기가스 배출에 대한 규제 압박과 서방 국가와 중국 간의 무역 분쟁이 트렌드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5.01.20by 권신혁 기자
로보틱스 개발의 선두국가는 미국으로 테슬라, 보스턴다이내믹스 등 진보된 휴머노이드 로봇 시제품과 출시품들의 성능 시연이 대중들에게 놀라움을 주고 있으며, 이에 질세라 중국 기업들이 다수 엔비디아와 협업하며 로보틱스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소개한 휴머노이드 로보틱스 기업 14개사 가운데 앞선 미국편 4개 로보틱스 기업에 이어 중국 6개 휴머노이드 로보틱스 기업들의 제품을 소개한다.
2025.01.13by 권신혁 기자
첨단 산업에서 2025년 새해도 AI는 여전히 핵심 키워드로 강조된다. 가전·IT 디바이스 제조사들은 AI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며 ‘AI 에이전트’, ‘AI 홈’, ‘개인화된 AI’ 등 AI 앞뒤로 특성화된 정체성을 표방했다. CES 2025를 통해 LG, 삼성은 AI 홈 시장 입지를 차지하고자 하는 행보를 보인 가운데 향후 관련 시장 격돌이 예상된다.
2024.12.19by 권신혁 기자
미국 대표 메모리 기업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18일 미국 현지시간으로 나스닥 정규장에서 4% 하락 마감한 데 이어 시간외거래에서도 18% 이상 하락을 기록하고 있어 시장에 충격을 줬다.
2024.12.16by 권신혁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첨단 기술 제재와 관세 정책으로 대외 통상 환경에 급변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트럼프 2기에 대응해 내수경기 부양책을 강하게 드라이빙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2024.12.13by 권신혁 기자
트럼프 2기 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오며 다시금 미중 무역 전쟁의 서막이 예고되고 있다. 국내 반도체·배터리·전기차 등 주요 제조산업에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관계 전문가들이 모여 다가올 2025년 통상 환경에 대한 주요한 통찰을 제시했다.
2024.12.11by 권신혁 기자
계엄·탄핵 정국으로 국내 정치권이 혼돈에 휩싸인 가운데 혼란스런 국내 상황을 틈타 경제·산업 전반에 중국 자본이 국내 자동차 시장에 손을 뻗치고 있다.
2024.08.20by 권신혁 기자
지난 14일 상하이 푸둥 신구에서 발표한 계획에 따르면 지능형 농산물 생산을 강화하고 현대 농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무인 농장 건설을 가속화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