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지난해 말 충남 태안군 일원에서 공중이동체와 지상 시스템 간 2.5km 거리에서 1.3Gbps 이동통신 서비스 시연에 성공하며, 드론 등 공중이동체를 이용해 재난 상황에서 신속한 비상 통신망 구축과 국방 분야에서 통신 문제 해소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중이동체·지상 2.5km 거리 1.3Gbps 통신 시연 성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드론 등 공중이동체를 통해 대용량 장거리 이동통신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며, 재난 상황에서 신속한 비상 통신망 구축과 국방 분야에서 통신 문제 해소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ETRI는 지난해 말 충남 태안군 일원에서 공중이동체와 지상 시스템 간 2.5km 거리에서 1.3Gbps 이동통신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10km 거리에서는 300Mbps의 속도를 달성했다.
이 기술은 복수의 공중이동체를 운용해 넓은 지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데 성공했다.
ETRI가 개발한 공중이동체 기반 대용량 장거리 이동통신 인프라 제공 기술은 150미터 저고도 공중 환경에서 드론과 도심교통항공(UAM) 등의 공중이동체를 활용해 지형지물의 제약 없이 신속한 이동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이 기술은 △공중 통신 기지국 △장거리 대용량 공중-지상 간(A2G) 링크 △인프라 운영/관리/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공중시스템은 5G 소형셀 기지국과 공중 이동백홀 터미널을 탑재한 45kg급 X-8 드론으로 구성되며, 지상 시스템과 밀리미터 대역(mmWave) 기반 장거리 통신 기술로 연결된다.
ETRI 연구진은 드론이나 UAM에 소형셀, 이동 백홀 터미널 등을 탑재해 재난 지역의 구조·구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밀리미터파 대역의 짧은 전송 거리 한계를 극복하고 광대역 고속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기술을 적용해 통신에 성공했다.
ETRI는 이 기술을 통해 공중-지상 간 대용량 장거리 통신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이는 10km 거리에서도 다채널 4K UHD 영상을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 기술은 재난 대응 외에도 국방 분야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TRI 배정숙 지능무선액세스연구실장은 “재난재해뿐만 아니라 통신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어 국민 생활 안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ETRI 백용순 입체통신연구소장은 “이번 기술은 지상과 비지상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6G 입체통신의 기반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네스앤텍, ㈜이노와이어리스, ㈜KT가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
ETRI는 이 기술의 연구 우수성을 인정받아 SCI 논문 게재와 국제학술대회 우수 논문상 수상,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등의 성과를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