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콘 코리아(semicon korea) 2025’가 2월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AI의 급진적인 발전으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 서플라이체인이 거대한 변화를 직면하고 있는 가운데 그 트렌드와 새로운 기회를 확인할 수 있는 반도체 축제의 장이 개막했다.
올해는 코엑스의 A·B·C·D·E홀뿐만 아니라 추가로 그랜드볼룸, 플라츠까지 사용하면서 역대 최대규모로 펼쳐진다.

▲세미콘 코리아 2025 개막식에서 참석 귀빈들이 오프닝 세레머니를 하고 있다.
500社·2,301부스, 삼성·AMD·imec·시놉시스·어플라이드 기조연설
SEMI, 3,600社 10년간 두 배 성장 반도체 표준·기술 발전 기여
AI의 급진적인 발전으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 서플라이체인이 거대한 변화를 직면하고 있는 가운데 그 트렌드와 새로운 기회를 확인할 수 있는 반도체 축제의 장이 개막했다.
세미콘 코리아 2025’가 2월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코엑스의 A·B·C·D·E홀뿐만 아니라 추가로 그랜드볼룸, 플라츠까지 사용하면서 역대 최대규모로 펼쳐진다.
세미콘 코리아 2025에는 약 500개 기업이 2,301개 부스를 통해 첨단 기술을 선보이며, AMD,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마이크론, 글로벌파운드리, 키오시아 등 글로벌 디자인 및 칩메이커 기업뿐만 아니라 ASM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램리서치, TEL, KLA 등 주요 반도체 소부장 기업이 한자리에 모인다.
이번 행사는 ‘LEAD THE EDGE’를 주제로 펼쳐지며 AI와 같은 첨단 기술이 재편하는 반도체 산업에서 혁신을 주도할 ‘엣지 테크놀로지’를 만나볼 수 있다.
3일간 진행되는 30여개의 컨퍼런스에는 반도체 산업을 대표하는 200여명의 전문가가 연사로 참여하여 △6개 공정별 첨단 반도체 제조기술 △스마트 매뉴팩처링 △계측 △테스트 △화합물 전력 반도체 △지속가능성 △사이버보안 △마켓 트렌드 △투자기회 △R&D협력을 주제를 다룬다.
세미콘 코리아 2025는 AMD,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imec, 삼성전자, 시놉시스에서 발표하는 기조연설로 시작된다.
삼성전자 송재혁 사장이 ‘Semiconductor Innovation for A Better Life’를 주제로 발표하고, imec의 Luc Van den hove CEO가 ‘The Versatile Future of Semiconductor Systems’에 대해 발표한다.
이에 Bill En AMD 부사장이 ‘Demand for Power Efficiency in the Age of AI’에 대해 발표하고, Ravi Subramanian 시놉시스 Chief Product Management Officer가 ‘Powering Innovation In The Era Of Pervasive Intelligence’를 주제로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Prabu Raja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President가 ‘Accelerating Energy-Efficient Semiconductors through Collaborative Innovation’을 주제로 발표한다.
기술 컨퍼런스는 △STS (SEMI Technology Symposium) △MI(Metrology and Inspection) 포럼 △테스트 포럼 △스마트 매뉴팩처링 포럼 △화합물 전력 반도체 서밋(Compound Power Semiconductor Summit) △사이버보안(CyberSecurity) 포럼 등이 열린다.
또한 환경안전 포럼, 비즈니스 프로그램, 인재 육성 및 다양성 증진 프로그램 등이 진행된다.

▲조현대 세미코리아 사장이 세미콘 코리아 2025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편 19일 개막 당일 오전에 개최된 기자 간담회에서 조현대 사장은 세미콘 코리아 소개와 함께 SEMI가 전세계 3,600개가 넘는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반도체 소재, 장비 회사 이외에도 자동차 OEM 회사 라든지 반도체를 사용하는 모든 회사들이 회원사로 가입하고 있다며 10년동안 두 배를 넘는 큰 확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러한 규모를 바탕으로 반도체 표준 마련과 기술 혁신 방향성 제시, 대외 협력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조현대 SEMI 코리아 사장은 “AI의 성장세는 반도체 산업의 핵심적인 성장 동력으로 꼽히지만, 그와 동시에 산업에는 더 많은 기술적 요구와 글로벌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세미콘 코리아 2025가 전 세계 반도체 서플라이 체인이 모이는 자리인 만큼 참여하시는 모든 분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협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사이트를 발견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